El Discipulado – Pastor David Jang

Introducción

En la iglesia coreana actual convergen diversas corrientes teológicas y distintos énfasis espirituales. Dentro de este panorama, el pastor David Jang ha enfocado su ministerio y la vida de la comunidad eclesiástica en “el discipulado de Cristo”, impulsando que el evangelio se traduzca en la práctica diaria. No contempla el mensaje central del evangelio como un mero dato intelectual, sino como la esencia que debe permear todos los ámbitos de la vida a través del sufrimiento, la obra del Espíritu Santo y la comunión en la iglesia. Especialmente, concibe la iglesia no como un ente aislado del mundo, sino como una comunidad dinámica que concreta el plan de salvación de Dios, aportando métodos específicos para que los creyentes vivan como discípulos de Cristo. En este texto, se exploran los temas clave que el pastor David Jang subraya —el discipulado, el sufrimiento, el Espíritu Santo, la comunidad eclesiástica y la esencia del evangelio—, con el fin de extraer reflexiones y aplicaciones concretas para nuestra fe.


Antecedentes y visión general del ministerio de David Jang

El pastor David Jang se adhiere a la línea de fe evangélica de la iglesia coreana, haciendo hincapié en la autoridad bíblica y, a la vez, abogando por respuestas prácticas a los problemas complejos de la sociedad moderna. Afirma que la labor de la iglesia va más allá de custodiar el culto y la doctrina, exhortándola a extender la influencia del evangelio mediante la responsabilidad social y el amor activo. Para este fin, ha promovido programas de formación centrados en la Palabra, grupos pequeños, misiones tanto nacionales como extranjeras y el entrenamiento de discípulos, entre otros. Estimula a los fieles a no quedarse en el recinto eclesial, sino a “encarnar” el evangelio en su entorno, fomentando una cultura de cuidado y solidaridad entre los miembros.

Sobre la base de un sustrato académico y teológico, se esfuerza por actualizar el legado evangélico. Reconoce la Biblia como la Palabra de Dios, defiende la obra redentora de Jesús como la única expiación válida para toda la humanidad y persigue la cooperación ecuménica, siempre que se preserve lo esencial del evangelio. Esto se manifiesta de forma tangible en la colaboración con la comunidad local, en la búsqueda de unidad entre iglesias y en el servicio hacia grupos vulnerables o marginados, según la convicción de que el evangelio debe tocar las vidas de quienes más lo necesitan.


Palabras clave en la enseñanza de David Jang

Para el pastor David Jang, el fundamento de toda su enseñanza es el discipulado de Cristo. Además de este pilar, resalta el sufrimiento, la presencia del Espíritu Santo, la esencia y misión de la iglesia, así como la vivencia práctica del evangelio, todos entrelazados de manera orgánica. Afirma que el evangelio se vuelve operativo a través del discipulado, que el Espíritu Santo es quien da vida a ese discipulado y que el sufrimiento es la vía para que los discípulos maduren. La iglesia, por su parte, es la comunidad donde se reúne este grupo de discípulos para ayudarse, motivarse y cumplir la voluntad de Dios; y el evangelio es el mensaje que debe encarnarse y difundirse en todos los ámbitos.


El discipulado de Cristo

David Jang define el discipulado de Cristo no como un mero concepto teológico o doctrinal, sino como un sendero de compromiso real. Concibe el discipulado como la actitud esencial de seguir a Jesús, y solo mediante la negación personal y la asunción de la cruz se obtienen frutos y un crecimiento espiritual genuinos. Cita a menudo Mateo 16, donde Jesús pide a los discípulos que se nieguen a sí mismos y tomen su cruz, asegurando que este pasaje expone la médula del discipulado. Además, recalca que la misión primordial de la iglesia se sintetiza en la Gran Comisión de Mateo 28, “haced discípulos a todas las naciones”, y que toda congregación existe para cumplir esta orden.

Para materializar este discipulado, fomenta la meditación continua de la Palabra y la oración, ayudando a los creyentes a integrar la Biblia en su cotidianidad. A través de grupos pequeños o células, la comunidad comparte experiencias de vida y reflexiona acerca de la aplicación de la Escritura, superando así la superficialidad y avanzando hacia una madurez espiritual más sólida. Aunque admite que el discipulado conlleva un esfuerzo considerable, subraya que su vivencia colectiva permite la auténtica renovación de la iglesia. Insiste en que el discipulado no se limita a un “programa de fe” ni a un “diploma de finalización”, sino que busca conformar la personalidad de Cristo en cada individuo. Añade que el discipulado cobra vigor cuando se expresa en grupos reducidos, en la adoración, el servicio, la evangelización y la misión, contribuyendo a consolidar el tejido comunitario.

Al impartir el discipulado, valora la enseñanza teológica cabal y la interpretación doctrinal equilibrada. Advierte que la iglesia, si se desequilibra hacia enseñanzas erróneas o un fervor excesivo, corre el riesgo de caer en el legalismo o en el colectivismo, ocasionando rupturas en lugar de edificación. Para él, es primordial resguardar la motivación genuina fundada en la Palabra y la gracia, evitando que el discipulado se convierta en simple activismo o en una dinámica de logros. Está convencido de que el discipulado auténtico cambia al creyente, edifica la comunidad eclesiástica y brinda el cauce para irradiar la luz del evangelio en el mundo.


Sufrimiento y madurez espiritual

David Jang afirma que el sufrimiento resulta inevitable en la existencia del cristiano. Observando a los apóstoles y al mismo Jesús, subraya que, según la Biblia, el sufrimiento y la gloria van de la mano. Señala que, a través del sufrimiento, la altivez humana se desploma, el creyente aprende humildad ante Dios y finalmente experimenta una fe más profunda. Remite a Santiago 1, que insta a la alegría en medio de las pruebas, viendo el sufrimiento como un camino que forja la perseverancia y la madurez espiritual.

Asimismo, hace notar que la iglesia se fortalece cuando sus miembros cargan con el dolor de los demás, interceden en oración y ofrecen ayuda tangible. Con frecuencia alude al libro de Job, donde se describe la postura de Job al rehusarse a renegar de Dios a pesar de su adversidad, y a la confesión de Pablo, quien consideraba su “aguijón en la carne” como un medio para visibilizar el poder de Dios en la debilidad. Ambas historias ilustran cómo el sufrimiento puede interpretarse como una prueba de fe y un proceso de crecimiento en la gracia divina, sirviendo de inspiración para los creyentes en la actualidad.

Invita a no concebir el sufrimiento como un castigo o una desgracia que se deba evitar, sino a reconocerlo, dentro de la voluntad de Dios, como una coyuntura para humillarse, para orar con más intensidad y para adquirir mayor madurez. Sostiene que, enfrentado de esta forma, el creyente se ve transformado tanto en su carácter como en su vida espiritual. Asimismo, insiste en la relevancia de no desatender a quienes pasan por pruebas dentro de la comunidad, ofreciéndoles acompañamiento y oración; ello fortalece a la iglesia en su unidad como un solo cuerpo. Para alcanzar este objetivo, aconseja cultivar una cultura de servicio en la congregación, atendiendo a personas frágiles o excluidas, pues el evangelio debe llevarse a la práctica en obras concretas de amor.


La presencia del Espíritu Santo y su obrar

En la enseñanza de David Jang, el Espíritu Santo es la fuerza motora que hace operativo el discipulado. Subraya que no se trata meramente de un aspecto doctrinal, sino de la fuente de poder que dinamiza la vida de cada creyente y de toda la comunidad de fe. Tal y como el descenso del Espíritu en Pentecostés (Hechos 2) marcó el origen de la iglesia primitiva, la renovación eclesial de hoy también necesita la intervención del Espíritu.

Citando Gálatas 5, “andad en el Espíritu”, afirma que la plenitud del Espíritu no se reduce a experiencias efímeras ni a picos emotivos durante ciertos eventos, sino que se traduce en un proceso de obediencia y santidad cotidiana, basado en la sabiduría y la fuerza que Él concede. Tomando Efesios 5, “sed llenos del Espíritu”, insta a que esa plenitud se manifieste a diario en gratitud, adoración y servicio amoroso, y que el fruto descrito en Gálatas 5 —amor, gozo, paz, paciencia, benignidad, bondad, fidelidad, mansedumbre y dominio propio— se encarne de manera práctica.

También destaca los dones del Espíritu mencionados en 1 Corintios 12, recordando que todas estas capacidades han sido dadas para edificar la iglesia y compartir el evangelio. Señala el peligro de ponderar desmedidamente algún don concreto o de menospreciar su importancia, ya que ambas posturas pueden dividir a la comunidad. Recalca que la acción del Espíritu no se limita a la experiencia individual, sino que une a la iglesia y la impulsa a llevar su misión a un plano más amplio.


La comunidad eclesiástica y su misión

David Jang concibe la iglesia como la comunidad que materializa el plan de salvación de Dios. Al ser Jesús la cabeza del Cuerpo de Cristo, cada creyente aporta su singularidad al reino de Dios. A la luz de Efesios 1 y 4, y considerando el relato de la iglesia primitiva en Hechos 2, enfatiza que la pasión por el evangelio, el amor recíproco, la oración y la Palabra provocan resultados extraordinarios en la iglesia.

Subraya la importancia de no mantenerse al margen de la sociedad, sino de vincularse con ella de modo análogo a la práctica de la iglesia primitiva, que compartía bienes y socorría a los necesitados. La iglesia ha de aplicar los valores del evangelio por medio de la acción social y la solidaridad, demostrando que no se trata solo de un lugar de encuentro, sino de una comunidad viva que extiende el plan salvador de Dios en su realidad.

Al remitir a Efesios 4, menciona los diferentes oficios (apóstoles, profetas, evangelistas, pastores y maestros) que la iglesia debe desarrollar para formar y equipar a los fieles en su servicio. Con un liderazgo saludable y una estructura organizativa adecuada, la formación de discípulos y la divulgación del evangelio pueden volverse más efectivas. Subraya la necesidad de valorar las distintas capacidades y talentos, cuidándose de disputas internas o divisiones, y de promover así un ambiente de respeto y colaboración.

Por otra parte, defiende la relevancia de la unión entre iglesias. Frente a la tentación de competir o de defender posturas denominacionales exclusivas, insta a una unidad basada en el evangelio, pues esto fortalecerá la evangelización regional y global, allanando el cumplimiento del mandato de Jesús.


La esencia del evangelio y la vida práctica

El pastor David Jang recalca que el evangelio se centra en la muerte y resurrección de Cristo como mensaje de salvación. La humanidad, condenada a la muerte eterna por el pecado, halla redención en la cruz de Jesús, quien pagó el precio completo del pecado, y en su victoria sobre la muerte mediante la resurrección. Insiste en que no basta con saber esto de forma intelectual: la fe se considera verdadera solo si lleva a una transformación en la vida diaria.

Recurre a Santiago 2, “la fe sin obras está muerta”, para ilustrar que creer en el evangelio implica un cambio radical en nuestra manera de vivir y en nuestros valores, regidos no por las normas del mundo, sino por los principios del reino de Dios. En la práctica, esto se traduce en el amor al prójimo, la justicia, la generosidad y el perdón, tal como demostró Jesús en su ministerio terrenal; implica ejercer como sal y luz más allá de las reuniones dominicales.

Además, indica que el poder del evangelio trasciende la salvación individual y promueve la transformación social. Cuando la iglesia está cimentada en el evangelio y atiende la injusticia y las necesidades de los débiles, el mundo experimenta el amor y la justicia de Dios. Para él, el evangelio es a la vez la Gran Comisión de anunciarlo hasta lo último de la tierra y la responsabilidad diaria de vivirlo aquí y ahora. Subraya que la iglesia no debe permanecer como un “club de salvación”, sino convertirse en las manos y pies de Dios operando en el mundo.


Conclusión integral: El camino del discipulado

El núcleo de la enseñanza de David Jang es el discipulado de Cristo. A su juicio, el discipulado enlaza todos los aspectos: plasma la esencia del evangelio en acciones concretas, otorga sentido a la obra del Espíritu Santo, conduce a la madurez a través del sufrimiento, refuerza la unidad eclesiástica y exterioriza el evangelio en la sociedad. Reitera que todos los creyentes deben responder a la Gran Comisión —“Id y haced discípulos a todas las naciones”—, que es el eje de la iglesia y su razón de ser.

Reconoce que el discipulado no es un viaje sencillo, pero afirma que únicamente en ese trayecto los cristianos encuentran el pleno desarrollo de su fe y la madurez colectiva. La cruz conlleva pruebas y dificultades, pero el Espíritu Santo y el apoyo de la comunidad convierten esas pruebas en frutos valiosos. Así, el discipulado no puede verse como un proyecto individual, sino como un proceso comunitario dentro de la iglesia, que a su vez se abre al mundo con un espíritu misionero.


Contribución teológica y relevancia para la iglesia contemporánea

En medio de desafíos como la secularización, el individualismo y el materialismo, el mensaje de David Jang ofrece una perspectiva útil para la iglesia. Al vincular de forma coherente el discipulado, el sufrimiento, el Espíritu Santo, la comunidad eclesiástica y la vivencia práctica del evangelio, anima a que la iglesia cumpla su propósito divino sin descuidar su esencia. Defiende la visión de que la iglesia debe reflejar el señorío de Dios en la tierra y que cada creyente retome el sentido de su identidad y misión.

Sus planteamientos van más allá del entorno coreano, en un momento en que muchas iglesias en todo el mundo se reorientan desde un modelo basado en eventos y programas hacia la centralidad del evangelio y el discipulado. El enfoque de David Jang sintoniza con esa tendencia, conjugando la base doctrinal y la dimensión experiencial con la praxis tangible de la fe. Para quienes procuran una iglesia con relevancia pública y un firme compromiso social, su modo de entender el discipulado ofrece un modelo plausible.


Ejemplos bíblicos y narraciones más específicas

Respecto al discipulado de Cristo, David Jang subraya una y otra vez la orden de Mateo 28: “Id y haced discípulos a todas las naciones”, donde ve la meta suprema de la iglesia y la base de todo ministerio. En Mateo 16, “Niéguese a sí mismo y tome su cruz”, observa cómo el discipulado exige entrega y sacrificio ineludibles.

Para ilustrar el sufrimiento y la perseverancia, suele citar la historia de Job y la experiencia del “aguijón en la carne” de Pablo. Job, a pesar de haberlo perdido todo, se negó a maldecir a Dios, y Pablo, pese a su debilidad, entendió que la fuerza de Dios se perfeccionaba en su flaqueza. Ambas experiencias muestran la posibilidad de confiar en la soberanía de Dios incluso en medio del dolor, lo que promueve un crecimiento espiritual profundo.

En cuanto a la comunidad eclesiástica y la acción del Espíritu Santo, el relato de Pentecostés en Hechos 2 ocupa un lugar clave en su mensaje. Tras la venida del Espíritu, los discípulos proclamaron el evangelio en lenguas diferentes y miles se convirtieron, manifestándose así el poder de Dios y la comunión (koinonía) basada en el amor, la Palabra y la oración.


Propuestas prácticas y aplicaciones

Las enseñanzas de David Jang se aplican tanto a la vida personal de cada creyente como al conjunto de la iglesia y a la formación de líderes. Para la dimensión individual, recalca la importancia de la meditación diaria en la Palabra y el compromiso de llevarla a la práctica, junto con la oración que vaya más allá de los asuntos personales y abrace la intercesión por la iglesia, el prójimo, la nación e incluso el mundo.

En el ámbito comunitario, aboga por fortalecer los grupos pequeños como estrategia básica. Estas células fomentan la cercanía entre los miembros para compartir su fe y su vida, orar unos por otros, ahondar en la Escritura y asistir en la necesidad real. Considera vital que la iglesia ofrezca programas formativos a diferentes sectores —nuevos creyentes, jóvenes, profesionales— para que cada uno reciba un entendimiento sistemático del discipulado. También propone diseñar proyectos misioneros y de acción social en los que los creyentes, ya equipados, pongan en práctica el evangelio en su entorno.

En cuanto al desarrollo de líderes, insiste en otorgar responsabilidades no solo a pastores, sino también a seglares, pues las múltiples tareas de la iglesia y los servicios a la sociedad requieren una gama diversa de liderazgos. Aconseja establecer retiros, talleres y un sistema de mentoría para forjar líderes arraigados en la Palabra y la oración, capaces de guiar a la iglesia y de servir al prójimo con visión integral. Así, se sientan las bases humanas para que el discipulado se implemente de manera cada vez más concreta.


Conclusión final: Una invitación a practicar el evangelio

Para David Jang, el evangelio no puede quedarse en la teoría o en la esfera doctrinal: debe expresarse en la vida diaria, y al conjunto de ese proceso lo llama “discipulado”. Cuando el discipulado se suma al poder del Espíritu Santo y a la unidad de la comunidad, incluso el sufrimiento se transforma en un peldaño hacia un crecimiento sólido. Ante todo, la práctica del discipulado conduce simultáneamente a la madurez individual y a la de la iglesia, permitiendo que el evangelio brille con fuerza en medio del mundo.

Él ve en la iglesia primitiva un modelo de vitalidad y está seguro de que, al recuperar ese ADN de fe, amor y servicio, la iglesia de hoy también puede ejercer un gran influjo transformador en la sociedad. Está convencido de que la verdadera renovación empieza en lo cotidiano, en pequeños grupos que viven la Palabra y la oración con fidelidad y muestran el amor de Dios con sencillez. A fin de cuentas, se trata de obedecer el llamado de Jesús en la Gran Comisión —“haced discípulos a todas las naciones”— de manera constante y tangible.


Referencias y orientación de consulta

Este texto se ha basado en los sermones, enseñanzas y planteamientos principales del pastor David Jang, dentro de las características de la iglesia coreana evangélica, destacando cinco conceptos: discipulado, sufrimiento, Espíritu Santo, comunidad de la iglesia y evangelio. Al citar la Escritura, se han utilizado principalmente pasajes equivalentes a la versión Reina-Valera o su adaptación contextual, con algunas variaciones para clarificar el contenido. Cada iglesia puede aplicar estas ideas de modo diferente, por lo que se recomienda profundizar directamente en los libros, sermones y materiales audiovisuales del pastor David Jang para una comprensión más detallada.

Cabe recordar que las sugerencias aquí presentadas son lineamientos generales, y su implementación requiere considerar las particularidades de cada congregación y de cada persona. Aunque el discipulado pueda adoptar diversas expresiones según cada realidad, en su esencia permanece invariablemente centrado en Cristo y abarcando la transformación íntegra de la vida.

제자도 – 장재형목사

들어가며

오늘날 한국 교회 안에는 여러 신학적 흐름과 영적 강조점이 공존한다. 이 가운데 장재형(장다윗목사) 목사는 ‘그리스도의 제자도’를 개인 신앙과 교회 공동체 사역의 중심축으로 삼아, 복음이 실제 삶에서 구현되도록 돕는 사역을 펼쳐 왔다. 그는 복음의 핵심 메시지를 단순히 지식으로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고난과 성령의 역사, 교회 공동체 안에서의 연합 등을 통해 삶 전반에서 드러나야 할 본질로 이해한다. 특히 그는 교회를 세상과 분리된 조직이 아니라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이루는 역동적인 공동체로 해석하면서, 성도들이 그리스도의 제자로 살아가는 실천적 방법을 제시한다. 이 글에서는 장재형 목사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그가 강조하는 제자도와 고난, 성령, 교회 공동체, 복음의 본질이라는 핵심 주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신앙적 통찰과 적용점을 모색한다.

장재형 목사의 배경과 사역 개요

장재형 목사는 복음주의 신앙노선을 견지하는 한국 교회 목회자로, 성경의 권위를 강조하면서도 현대 사회가 처한 복잡다단한 문제들에 대한 실천적 해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한다. 그는 교회가 예배와 교리를 지키는 데서 그치지 않고, 사회적 책임과 사랑의 실천을 통해 세상에 복음의 영향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생각을 실현하기 위해 그는 말씀 중심 교육과 소그룹 운영, 국내외 선교, 그리고 제자훈련을 비롯한 여러 프로그램을 전개해 왔다. 그는 교인들이 교회 안에서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삶의 현장 속에서도 복음을 살아 내도록 독려하며, 이를 위해 서로 돌보고 나누는 공동체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학문적·신학적 토대를 바탕으로 복음주의 전통을 현대화하려고 노력한다.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인정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을 온 인류에 미친 유일한 대속의 은혜로 보고, 복음 안에서 교단과 교파의 벽을 넘어선 에큐메니컬 협력을 추구한다. 이를 위해 교회가 본질적 복음에 합의하면서도, 서로의 전통과 문화를 존중하여 연합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 이러한 태도는 지역사회와의 협력, 교회연합운동 등으로 구체화되며, 다양한 사역 형태를 통해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이웃에게도 복음의 손길을 전해야 한다는 그의 신념을 뒷받침한다.

장재형 목사의 핵심 키워드

장재형 목사가 가장 중요하게 강조하는 주제는 그리스도의 제자도이며, 그 외에도 고난, 성령의 내주하심, 교회의 본질과 사명, 그리고 복음의 실천적 삶이라는 핵심 영역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는 복음이 제자도를 통해 실천되며, 성령의 능력이 그 제자도에 생명력을 부여하고, 고난을 통해 제자들이 더욱 성숙해진다고 주장한다. 교회는 그 제자들이 함께 모여 서로 돕고 격려하며 하나님의 뜻을 실현하는 공동체이며, 복음은 삶의 모든 영역에서 체화되고 전파되어야 할 메시지라는 것이 그의 일관된 견해다.

그리스도의 제자도

장재형 목사는 그리스도의 제자도를 단순한 신학적·교리적 개념이 아니라, 실제 삶에서 구현되어야 할 헌신의 여정으로 간주한다. 그는 제자도가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근본적인 태도이며, 자기 부인과 십자가를 지는 삶을 통해 진정한 영적 성장과 열매가 맺힌다고 설명한다. 마태복음 16장에서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라고 명하신 본문을 자주 인용하면서, 이것이 제자도의 본질을 예리하게 보여 준다고 역설한다. 그는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으라”는 마태복음 28장의 지상명령이 교회의 가장 중요한 사명이라고 믿으며, 교회가 존재하는 목적은 바로 이 대사명을 실천하는 데 있다고 강조한다.

그는 제자훈련을 위해 교회 내에서 말씀 묵상과 기도를 꾸준히 장려하며, 성도들이 말씀을 생활화하도록 돕는다. 소그룹 혹은 셀 단위로 모여 삶을 나누고 말씀을 적용하는 경험을 통해, 교인들은 피상적 신앙에서 벗어나 실제적인 영적 성장에 이른다. 그는 제자도의 여정이 결코 쉽지 않은 길임을 인정하면서도, 이 길을 함께 걸어갈 때 교회가 진정한 의미에서 부흥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제자도가 한 개인의 ‘신앙 프로그램’이나 ‘수료 증서’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을 늘 강조하면서, 그리스도의 인격을 닮아 가는 과정이야말로 진정한 제자도의 목표라고 말한다. 그는 제자도가 교회 내 작은 모임과 예배, 봉사, 전도, 선교 등 다양한 활동 속에서 살아 움직일 때 교회 공동체가 더욱 견고해진다고 지적한다.

그는 제자도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올바른 신학 교육과 균형 잡힌 교리 해석이 중요하다고 본다. 교회가 잘못된 교리나 극단적 열정에 치우칠 경우, 제자도는 율법주의나 집단주의에 빠져 건강한 신앙 성숙 대신 갈등과 분열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한다. 제자도가 단순한 행위주의나 성과주의로 변질되지 않도록, 말씀과 은혜에 근거한 바른 동기 부여가 필요함을 역설한다. 그는 진정한 제자도가 개인을 변화시키고, 교회를 온전히 세우며, 세상에 복음의 빛을 비추는 통로가 된다고 확신한다.

고난과 영적 성숙

장재형 목사는 고난이 그리스도인의 삶에 필연적으로 수반된다고 말한다. 성경에서 사도들과 예수님의 삶을 보면, 고난과 영광은 분리되지 않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그는 고난을 통해 인간의 교만이 꺾이고, 하나님 앞에서 겸손한 자세를 갖추게 되며, 결국 더욱 깊은 신앙을 경험하게 된다고 본다. 야고보서 1장에 “여러 가지 시험을 당하거든 온전히 기쁘게 여기라”는 권면이 있듯이, 고난은 인내와 영적 성숙을 이끌어 내는 통로라는 해석이다.

그는 교회 공동체가 서로의 고난을 함께 지고 기도하며, 실제로 필요한 도움을 주는 과정을 통해 교회가 더 단단해진다고 설명한다. 욥기에서 욥이 극심한 시련 속에서도 하나님을 저주하지 않았던 모습이나, 바울이 ‘육체의 가시’를 안고도 하나님의 능력이 약한 자 속에서 온전해진다고 고백한 장면을 자주 예로 든다. 이 두 인물은 고난을 ‘믿음의 시험이자 성장의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결국 하나님의 더 큰 은혜와 능력을 경험했다. 그는 이 점이 현대 신자들에게도 큰 도전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는 신자들이 고난을 단순히 피해 가야 할 불행이나 징벌로 받아들이지 말고, 오히려 하나님의 섭리 속에서 자신을 낮추고 더욱 기도하며 나아갈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한다. 이런 태도를 통해 그리스도인들은 연단을 겪고, 그 과정을 통해 인격적·영적 성숙을 체험한다는 것이다. 교회 내에서 고난을 당하는 자들을 무관심하게 방치해서는 안 되며, 서로 돌아보고 실제적인 도움과 기도를 제공할 때, 교회는 한 몸으로 더욱 결속된다고 강조한다. 이를 위해서는 개교회가 섬김 문화를 형성하고, 사회적 약자나 소외된 계층을 위한 봉사나 구제 활동을 중시해야 한다고도 말한다.

성령의 내주하심과 역사

장재형 목사는 성령이 제자도를 실제로 작동하게 하는 동력이라고 본다. 그는 성령이 교리적 설명에 머무는 분이 아니라, 개개인의 삶과 교회 공동체 전체에 활력을 불어넣는 능력의 원천이라고 강조한다. 오순절 성령 강림 사건(사도행전 2장)이 초대교회의 시작을 알렸듯이, 오늘날 교회가 진정한 부흥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성령의 역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그는 갈라디아서 5장에 나오는 “성령을 따라 행하라”는 구절을 인용하며, 성령 충만은 일시적 감정 폭발이나 집회에서의 열광으로만 국한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 대신, 성령께서 주시는 지혜와 능력을 토대로 삶의 자리에서 거룩과 순종을 실천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역설한다. 에베소서 5장에서 “오직 성령으로 충만함을 받으라”는 말씀을 근거로, 성령 충만은 매일의 삶에서 감사와 예배, 사랑의 섬김으로 표현되어야 하며, 갈라디아서 5장에 언급된 성령의 열매인 사랑, 희락, 화평, 인내, 자비, 양선, 충성, 온유, 절제가 구체적으로 드러나야 한다고 본다.

그는 고린도전서 12장에 나오는 성령의 다양한 은사에 대해서도 강조하면서, 모든 은사는 교회를 세우고 복음을 전하기 위한 것이라는 본질을 잊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정 은사를 지나치게 강조하거나, 반대로 은사의 가치를 경시하여 교회가 서로 분열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성령의 인도는 개인적 체험을 넘어, 교회를 하나로 묶어 주고, 세상에 대한 사명을 확장하는 일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그의 시각이다.

교회 공동체와 사명

장재형 목사는 교회를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구체화하는 공동체로 이해한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가 머리가 되시는 유기적 몸이므로, 서로 다른 지체들이 협력하여 하나님 나라의 사명에 참여해야 한다고 말한다. 에베소서 1장과 4장에 언급된 그리스도의 몸 개념이나, 사도행전 2장의 초대교회 모습을 통해, 교회가 서로 사랑과 나눔, 기도와 말씀, 그리고 복음을 전하는 열정으로 충만했을 때 놀라운 역사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교회가 세상과 단절된 신앙 공동체로 남아 있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초대교회가 재산과 소유를 서로 통용하고 이웃을 섬겼던 것처럼, 오늘날에도 교회가 지역사회와 세계를 향해 적극적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교회는 구제와 봉사, 사회적 약자를 향한 섬김으로 복음의 가치를 실천해야 하며, 이를 통해 교회가 단순히 모이는 장소에 그치지 않고,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펼치는 움직이는 공동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에베소서 4장에 기록된 여러 직분(사도, 선지자, 복음 전하는 자, 목사와 교사)을 교회가 잘 구현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직분들은 성도를 온전하게 하고 봉사와 섬김을 위해 주어지는 것이므로, 교회가 이를 효과적으로 개발해 나간다면 건강한 리더십과 조직 구조를 통해 보다 체계적인 제자 양성과 복음 전파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그는 교회가 서로 다른 은사와 재능을 가진 이들을 존중하고 협력하도록 장려해야 하며, 교회 내부의 다툼이나 파벌주의를 경계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그는 교회 간 연합의 중요성도 역설한다. 현대 사회에서 교회가 세를 과시하거나 교파 간 갈등을 벌이기보다는, 복음 안에서 하나 되는 연합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복음화와 해외 선교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며, 예수님의 지상명령을 보다 충실히 감당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신념이다.

복음의 본질과 실천적 삶

장재형 목사는 복음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을 중심으로 하는 구원의 소식임을 분명히 강조한다. 인간이 죄로 인해 영원한 사망에 이를 수밖에 없었지만,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모든 죄 값을 지불하셨고 부활로 사망의 권세를 이기셨으므로, 이 복음을 믿는 자는 구원을 얻는다는 것이 기독교 신앙의 본질이라는 것이다. 그는 이 복음을 머리로만 아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삶으로 체현해야 진정한 믿음이 된다고 주장한다.

그는 야고보서 2장에 등장하는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라는 문장을 즐겨 언급하며, 복음을 믿는다는 것은 삶의 방식과 가치관이 근본적으로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한다. 세상의 기준이 아닌 하나님 나라의 기준에 따르려 노력하는 삶이 바로 복음을 실천하는 길이라는 것이다. 이는 곧 이웃 사랑과 정의, 나눔과 용서 등 예수님이 몸소 보여 주신 삶의 태도를 일상에서 구현하는 것이며, 교회 밖에서도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는 것을 뜻한다.

그는 복음이 궁극적으로 개인 구원을 넘어 세상 변혁의 동력이 되기도 한다고 말한다. 교회가 복음으로 무장하고 사회적 불의와 약자를 돌보는 일에 앞장설 때, 세상은 교회를 통해 하나님의 사랑과 공의를 체감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는 복음이 세상 끝까지 전해져야 할 대사명인 동시에, 현재 삶의 자리에서 실현되어야 할 일상의 가치라고 설명한다. 교회가 단순한 ‘구원 클럽’이 아닌, 세상에서 역사하는 하나님의 손과 발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는 데에는 이러한 인식이 바탕에 깔려 있다.

종합적 결론: 제자도의 길

장재형 목사의 가르침을 통틀어 가장 핵심이 되는 주제는 그리스도의 제자도다. 제자도가 모든 영역을 아우르며, 복음의 핵심을 현실화하고, 성령의 능력을 실천하게 만들며, 고난을 통해 영적 성숙을 이끌어 내고, 교회를 하나 되게 하여 세상 속에서 복음을 드러나게 하는 구심점이라는 것이다. 그는 그리스도를 따르는 모든 이들이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으라”는 예수님의 지상명령에 순종해야 하고, 그 명령이 곧 교회의 존재 이유라는 사실을 거듭 상기시킨다.

그는 제자도가 결코 쉬운 길이 아님을 인정하면서도, 결국 모든 신자는 이 길에 서야만 진정한 의미의 신앙적 성장과 공동체적 성숙을 맛본다고 말한다. 자기 십자가를 지는 삶은 고난과 시련을 동반하지만, 성령의 내주하심과 교회 공동체의 도움을 통해 그 고난이 풍성한 열매로 바뀌는 순간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다. 제자도는 따라서 나 홀로 사는 신앙이 아니라, 교회라는 몸 안에서 함께 성장하고 서로를 돌보며, 또 세상으로 파송되어 복음을 전파하는 열린 구조로 이해된다.

신학적 기여와 현대 교회적 의의

장재형 목사의 메시지는 현대 교회가 직면한 세속화, 개인주의, 물질만능주의 등의 도전에 대한 한 가지 유효한 해답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제자도와 고난, 성령, 교회 공동체, 그리고 복음의 실제적 적용을 유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교회가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고 하나님 나라의 사명을 감당하도록 돕는다. 그는 교회를 이 땅에서 하나님의 통치를 나타내는 모습으로 세우고, 성도 각자가 교회의 본질을 구현하는 일원이라는 정체성을 되새긴다.

그의 가르침은 한국 교회를 넘어 세계 교회도 함께 고민해야 할 제자도 회복의 길을 제시한다. 많은 교회가 프로그램과 행사 중심의 성장 방식에서 탈피해, 본질적인 복음과 제자도에 초점을 맞추는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장재형 목사의 제자도 중심 목회는 이러한 흐름과 맥을 같이한다. 그는 교리적이며 영적 체험을 중시하되, 행함으로 이어지는 실제 신앙을 반드시 따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교회의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을 고민하는 이들에게 실천적 모델이 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인 성경 구절과 예화

그리스도의 제자도와 관련하여, 그는 마태복음 28장의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으라”는 말씀을 반복해서 강조한다. 이는 교회가 추구해야 할 절대적 목표이자, 모든 사역의 출발점이라고 말한다. 마태복음 16장에 나오는 예수님의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라”는 말씀은 제자도가 헌신과 희생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 주는 본문이라는 것이 그의 견해다.

고난과 인내를 예화로 설명할 때는 욥기와 바울의 ‘육체의 가시’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욥은 모든 것을 잃었음에도 하나님을 향한 경외심을 버리지 않았고, 바울은 자신의 약함을 통해 오히려 하나님의 능력이 강하게 드러난다고 고백한다. 그는 이것이 고난 속에서도 하나님의 섭리를 신뢰하고, 그 과정을 통해 영적 성숙에 이르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말한다.

교회 공동체와 성령의 역사와 관련해서는 사도행전 2장 오순절 성령 강림 사건을 핵심 본문으로 제시한다. 성령이 임하자 제자들은 각기 다른 언어로 복음을 전하기 시작했고, 수많은 회심자가 나타나며 초대교회가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그는 초대교회의 기적적 성장 배후에는 성령의 역사와 함께, 말씀과 기도, 나눔과 사랑이 어우러진 ‘코이노니아’의 삶이 있었음을 강조한다.

실천적 제안과 적용

장재형 목사의 가르침은 개인 신앙생활, 교회 공동체, 그리고 지도자 양성이라는 세 영역 모두에 두루 적용할 수 있다. 그는 개인이 매일 말씀을 읽고 묵상하며, 자신의 삶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려고 고민하는 과정을 소중히 여긴다. 기도 역시 자기 문제만을 위한 간구가 아니라, 교회와 이웃, 더 나아가 나라와 민족, 세계를 위한 중보 기도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본다.

교회 공동체 차원에서는 소그룹 활성화를 핵심 전략으로 삼는다. 소그룹을 통해 교인들이 서로의 삶과 신앙을 나누고, 말씀과 기도에 더욱 밀착할 수 있으며, 실제적인 돌봄과 봉사가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교회는 연령과 상황에 따라 다른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 새신자나 청년, 직장인 등이 각각 제자도를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선교와 구제, 봉사 프로젝트 등 교회가 함께할 수 있는 실천적 활동을 마련해, 제자도로 훈련받은 성도들이 자연스럽게 세상 속에서 복음적 삶을 실천하도록 이끈다.

지도자 양성 영역에서는 목회자뿐 아니라 평신도 지도자에게도 비전을 부여한다. 교회 안팎의 여러 사역을 감당하고, 성도들을 돌보며, 지역사회를 복음으로 섬기는 과정에서 다양한 리더십이 요청되기 때문이다. 그는 건강한 리더십을 세우기 위해 정기적인 수련회와 멘토링 체계를 구축하여, 말씀과 기도로 무장된 리더들이 교회를 섬기고 세상을 향해 나아가도록 격려한다. 이를 통해 교회는 제자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인적 토대를 마련하게 된다.

마무리: 실천하는 복음으로의 초대

장재형 목사는 복음이 지식이나 교리로만 머물지 않고, 실제 행동과 태도로 이어지는 길을 ‘제자도’라고 부른다. 그는 이 제자도의 길에 성령의 능력과 교회의 연합이 더해질 때, 고난도 성도의 영적 성장을 위한 디딤돌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무엇보다 제자도를 통해 개인 신앙과 교회 공동체가 동시에 성숙해 가며, 그 결실로서 세상에 복음의 빛을 전하는 일이 가능해진다고 말한다.

그는 초대교회의 역동적 모습을 언급하며, 교회가 그 본질적 DNA를 되찾을 때 세상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고 확신한다. 거창한 프로그램이나 이벤트보다, 말씀과 기도에 충실하며 서로 사랑을 실천하는 일상의 작은 모임에서부터 진정한 변화가 시작될 수 있다고 본다. 이는 궁극적으로 예수님의 지상명령인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으라”는 부르심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일상적인 순종이다.

참고 및 정리 방식 안내

이 글은 장재형 목사의 주된 가르침과 설교, 그리고 복음주의 신앙 노선을 지지하는 한국 교회의 특성을 토대로 제자도, 고난, 성령, 교회 공동체, 복음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성경 인용은 주로 개역개정판을 기준으로 하되, 문맥에 맞추어 일부 구절은 요약하여 제시했다. 실제 교회 현장에서는 이 내용이 더욱 구체적이며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니, 장재형 목사의 저서나 설교 자료, 영상 콘텐츠 등을 참고하면 보다 직접적인 이해를 얻게 될 것이다.

이 글에 담긴 모든 제안은 어디까지나 기본 원리에 대한 것이므로, 실제 적용 시에는 각 교회와 성도들의 상황과 필요를 고려해야 한다. 제자도는 교회마다, 그리고 성도 각자마다 다양한 모습으로 펼쳐지지만, 그 본질은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에 두고 삶 전체를 변화시키는 과정이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교회의 본질과 사명 – 장재형목사

1. “그리스도의 몸 안에서 하나 됨의 기초”

에베소서 4장 4절에서 사도 바울은 “몸이 하나이요 성령이 하나이니”라고 선포한다. 이는 교회가 왜 그리스도의몸으로서 하나 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핵심 구절이다. 장재형 목사는 이러한 본문을 해석하며, 교회가 다양한모습과 문화를 품고 있을지라도 그 근원이 오직 그리스도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역설한다. 몸이 하나라는선언은 단순히 조직이나 제도상의 통일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성령 안에서 영적·실질적으로 “연합”된다는본질을 보여준다.

이 연합은 외적인 형태나 특정 공동체만의 색깔을 주장하는 것과 다르다. 바울은 “성령이 하나”임을강조함으로써, 교회 내 모든 성도의 궁극적 출발점이 어디인지 분명히 한다. 우리가 교회로 부름받았다는 사실자체가 성령께서 각 사람을 예수 그리스도를 믿도록 이끄시고 그분의 몸 안에 들어오게 하셨음을 뜻한다. 그결과, 어느 누구도 교회 안에서 자신의 권리를 독점하거나 우위를 주장할 근거가 없고, 한 몸 안에서 함께성장하는 동등한 지체라는 본질을 받아들여야 한다.

장재형 목사는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이 된다는 이 개념이 다양성의 무시나 획일적 일치를 의미하지 않는다고설명한다. 오히려 서로 다른 은사와 사역을 조화롭게 엮어 하나의 유기적 공동체를 이룬다는 점이 핵심이다. 바울이 고린도전서 12장에서 “한 몸에 많은 지체가 있듯이 교회에도 다양한 지체가 있다”고 언급한 사상과도상통한다. 장재형 목사는 이를 통해 성도들이 교회 안에서 각자의 위치와 사명을 온전히 인정받고, 서로경쟁하기보다는 상호 의존함으로써 진정한 하나 됨을 실천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에베소서 4장 4~6절을 보면 몸·성령·소망·주·믿음·세례·하나님 등 일곱 가지 ‘하나 됨’의 근거가 제시된다. 몸이하나, 성령이 하나, 소망이 하나, 주가 하나, 믿음이 하나, 세례가 하나, 하나님이 하나. 바울은 이를 통해 교회가분열되어서는 안 되는 이유를, 그리고 본질적으로 하나의 공동체임을 설명한다. 장재형 목사는 “바울이 이렇게분명한 기초를 제시했음에도, 교회는 여러 사소한 문제와 역사적·문화적 차이로 인해 분열을 반복해 왔다”고지적하면서, 오직 복음의 근본을 붙드는 것만이 참된 일치를 이룰 수 있는 길이라고 강조한다.

교회가 하나 됨을 유지하기 위해 피해야 할 위험 요소 중 하나는 세속화이다. 20세기 후반부터 각종문화적·사상적 흐름이 교회에도 파급되면서, 한편으로는 교회가 복음을 가지고 세상 속으로 나가야 한다는열정이 있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과도한 세속화를 경계해야 한다는 딜레마가 생겼다. 장재형 목사는 “세속화신학”이 모두 그르다고 단정 짓기보다는, 그 안에 담긴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적 관점”을 긍정적으로수용하되, 복음의 본질이 희석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말한다.

교회가 지나치게 폐쇄적이거나 자기 배타적 형태를 취해도 문제가 된다. 특정 교단이나 신앙 전통만이 완전하고옳다고 주장할 때, 복음의 본질과 하나 됨의 정신은 무시되고 외형적 기준만을 내세우는 오류에 빠지기 쉽다. 장재형 목사는 그러한 편협성과 분열을 극복하기 위해 에베소서 4장에 제시된 ‘일곱 가지 하나 됨의 근거’를날마다 되새길 것을 권면한다.

교회가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목표는 역사 전체가 예수 그리스도 안에 통일되어, 최종적으로 하나님의 나라가임하는 데 있다. 알파와 오메가이신 그리스도께서 역사의 시작이자 마침이시라는 것을 믿고 고백한다면, 교회는그 방향을 더 선명히 드러내야 한다. 우리가 “하나 됨”을 추구하는 것은 단지 교회 안의 화합을 위해서만이아니라, 하나님 나라의 실현을 예비하기 위함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칼과 창이 낫과 보습으로 바뀌는 진정한평화와 회복은 이 땅의 어떠한 제도나 인간적 노력만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오직 그리스도의 복음이 신자들을하나로 묶고 세상으로 흩어 보낼 때, 그 나라가 확장되는 놀라운 역사가 일어날 수 있다.

교회는 구원받은 자들의 모임으로서, 동시에 복음 전파와 봉사를 통해 세상에 소금을 뿌리고 빛을 비추는‘파송된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장재형 목사는 “교회는 누구나 자유롭게 들어와 은혜를 경험하고, 다시 세상속으로 나가 그 은혜를 나누도록 부름받은 존재”라고 강조한다. 이는 곧 “하나 됨의 이유가 교회 외부로 확장되는선교적 목적에 있음을 잊지 말라”는 점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에베소서 4장에 담긴 “몸이 하나이고, 성령이 하나이며, 소망이 하나이고, 주·믿음·세례·하나님이모두 하나이시다”라는 일곱 가지 선언을 붙드는 일이야말로 교회의 분열을 치유하고, 하나 됨을 온전히 이루며, 앞으로 하나님의 나라를 향해 나아가게 하는 중심축이라고 할 수 있다. 장재형 목사는 “이 본질적 진리 위에교회가 다시 서면, 아무리 급변하는 세상에서도 잃어버리지 말아야 할 복음의 힘과 은혜를 더욱 풍성히 맛보게 될것”이라고 말한다.

2. “은혜와 선물의 신비—값없이 주어진 구원의 본질”

에베소서 4장 7절에서 바울은 “우리 각 사람에게 그리스도의 선물의 분량대로 은혜를 주셨다”고 말한다. 장재형목사는 이 구절을 통해, 우리에게 주어진 구원이란 우리의 자격이나 노력으로 얻은 것이 아니라 “값없이 주어진은혜”이며 “하나님의 선물”이라는 복음의 핵심 메시지를 밝혀낸다.

이 은혜를 가장 잘 보여주는 예시로 마태복음 20장에 등장하는 ‘포도원 품꾼 비유’를 들 수 있다. 아침부터 하루종일 일한 품꾼도, 오후 늦게 불려와 한 시간밖에 일하지 못한 품꾼도 동일한 품삯을 받았다. 이 장면에서 오래일한 이들은 불평하지만, 주인은 “내가 너희에게 불의를 행한 것이 아니다. 약속한 한 데나리온을 준것뿐이다”라고 말한다. 이는 은혜의 세계가 얼마나 ‘불공평’하게 보일 수 있는지를 극적으로 보여준다. 동시에“받을 자격이 없는 자가 갑작스럽게 모든 것을 받아 버리는” 놀라운 은혜가 무엇인지를 예수께서 설명하신것이다.

포도원 주인에 해당하는 하나님은, 죄로 말미암아 어떠한 선한 공로도 쌓을 수 없었던 죄인에게도 동일한 구원을베푸실 수 있다. 장재형 목사는 이것이야말로 “은혜의 대반전”이며, 구원을 자격으로 환산하려는 인간의 모든오만한 시도를 일거에 부정한다고 말한다. 만약 우리가 구원을 ‘우리의 노력이나 자격의 결과’로 믿는다면, 그것은 이미 복음을 근본적으로 훼손하는 것이 된다는 것이다.

은혜는 헬라어로 “카리스”(charis)라고 불리는데, 이는 신약성경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하나님의 일방적호의를 의미한다. 선물은 받는 사람이 값을 치르지 않는다. 오직 베푸는 이의 호의와 사랑에서 비롯된 것일뿐이다. 마태복음 20장의 비유뿐 아니라, 누가복음 15장의 탕자 비유 역시 이를 잘 그려낸다. 아버지의 집을 떠나방탕하고 돌아온 아들을, 아버지가 조건 없이 환대하고 잔치를 베푸는 모습은 그 어떤 상황에서든 ‘돌아오기만하면’ 무한한 자비와 사랑을 베푸시는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상징한다.

교회는 이런 은혜를 모르는 이들이나 아직 깨닫지 못한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동시에 스스로도 그 은혜 안에머무름으로써 서로를 용납하고 용서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장재형 목사는 “죄인임을 아는 사람이야말로은혜 없이 살 수 없다는 사실을 절감하고, 오직 하나님의 선물에 의지할 때 감사와 겸손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역설한다. 교회가 만약 이 은혜의 의미를 잃어버리고 “내가 행했으므로 받는다”는 사고방식을 갖게 된다면, 그순간부터 정죄와 배제의 문화가 나타나게 된다. 이는 복음의 본질과 정면으로 충돌한다.

마태복음 9장에서 예수께서 세리와 죄인들과 식사하며, “나는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요, 죄인을 부르러왔노라”고 말씀하신다. 교회는 이런 예수님의 태도를 본받아, 세상의 모든 죄인을 향한 자비와 구원의 초청장을준비해야 한다. 장재형 목사는 “자신이 죄인임을 인정하고, 오직 주의 은혜로 살게 되었음을 아는 사람이 진정한복음의 증인”이라고 말한다. 결국 교회 안에서 우리가 함께 예배하고 교제하는 이유도, 모두가 은혜로 초대받은죄인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배타적인 클럽이 되어서도 안 되고, 스스로를 의인으로 포장하며 세상을재단해서도 안 된다.

에베소서 2장 8절에 “너희가 그 은혜를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이것은 너희에게서 난 것이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고 했다. 교회의 하나 됨도 마찬가지로 이 은혜를 매개로 이루어진다. 값없이 받은은혜로 말미암아 “내가 더 낫다”는 자기 자랑이 사라지고, 서로를 존중하게 될 때, 교회는 성령이 하나 되게 하신역사를 실제로 누리게 된다. 장재형 목사는 “하나님의 은혜가 접착제 역할을 하는 한 몸의 공동체가 교회”라고가르치며, 은혜의 신비가 사라지면 곧 갈등과 분열이 시작된다고 덧붙인다.

이렇듯 은혜에 대한 자각이 깊어질수록, 교회와 성도들은 자신을 높이는 대신 하나님의 사랑을 자랑하게 되고, 어렵고 힘든 영혼들조차도 함께 안아줄 수 있는 마음의 용량이 커진다. 포도원에 오후 다섯 시에 들어온품꾼에게도 한 데나리온을 주시는 하나님의 놀라운 호의가 오늘 우리에게도 동일하게 임했다는 사실을기억한다면, 교회 안에는 결코 서열이나 차별이 자랄 자리가 없다.

3. “다양성 속에서 이루어지는 통일성—은사의 목적과 직분”

에베소서 4장 8절에서 바울은 시편 68편을 인용하여 “그가 위로 올라가실 때에 사로잡힌 자를 사로잡고사람들에게 선물을 주셨다”는 구절을 언급한다. 이는 구약에서 전쟁에 승리한 장수가 전리품을 얻게 되고, 그것을 나누어 갖는 장면에서 따온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그런데 바울은 이걸 그리스도께 적용한다. 낮아지시고(성육신과 고난), 죽음을 통해 승리하신(부활) 예수 그리스도가 하늘에 오르사 교회에게 은사를‘전리품’처럼 분배하셨다는 것이다. 장재형 목사는 “우리의 사역이 곧 주님의 승리에서 비롯된 결과”라고강조하며, 하나님이 교회에 은사를 주심은 인간적 자격과 능력에 근거한 게 아님을 상기시킨다.

사도행전 2장에서 성령이 임하실 때 사람들이 각기 다른 언어로 하나님을 찬양했던 모습이 은사의 다양성을 잘보여준다. 고린도전서 12장, 로마서 12장, 그리고 에베소서 4장에는 은사들이 다채롭게 언급되는데, 이러한다양성은 교회 안에서 상호 보완을 통해 더 큰 통일성을 이룬다. 장재형 목사는 “은사의 목표는 교회를분열시키는 것이 아니라, 함께 결합하여 그리스도의 몸을 온전하게 세우는 것”이라고 말한다.

에베소서 4장 11절에서 바울은 사도, 선지자, 복음 전하는 자, 목사, 교사라는 다섯 가지 대표 직분을 언급한다. (일부 학자들은 목사와 교사를 묶어 네 가지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장재형 목사는 초대 교회 당시의 상황을반영하지만, 본질적으로 오늘날 교회도 이 다섯 직분이 제시하는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고 해설한다. 사도는개척하고 파송되는 자, 선지자는 하나님의 뜻을 대언하는 자, 복음 전하는 자(전도자)는 곳곳에 복음을 퍼뜨리는자, 목사는 양을 돌보는 자, 교사는 말씀을 가르치는 자를 각각 지칭한다.

이 직분들 중 어느 것도 우열이 없으며, 모두가 귀하다. 교회는 서로 다른 영역에서 은사를 가지고 섬기는사람들을 필요로 한다. 이것을 바울은 “몸의 다양한 지체”에 비유했다. 눈과 손, 발, 귀 등 각 지체가 서로 다른기능을 담당하지만, 어느 하나라도 없으면 온전한 몸으로서의 활동이 제한된다. 교회가 한 목소리를 낸다고 해서획일성에 빠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각자의 고유한 역할을 통해 풍성한 하모니를 이룬다는 데 진정한아름다움이 있다.

에베소서 4장 12절에서 바울은 은사를 주신 목적을 “성도를 온전케 하며 봉사의 일을 하게 하며 그리스도의 몸을세우려 하심이라”고 요약한다. 이를 조금 더 풀면 첫째, 상처받은 영혼을 치유하고 회복시키는 일이 교회의몫이다. 헬라어 ‘카타르티스모스’가 지닌 “꿰매고 교정한다”는 의미처럼, 교회는 죄와 아픔으로 갈라진 영혼들을보살피고 수선하는 작업에 부름받았다. 둘째, 그 회복된 성도들이 세상에 나가 봉사와 섬김을 실천하도록준비시키는 것이다. 교회 안에서 예배하고 교육받은 성도는, 세상으로 나아가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며 약자들을돌보고 정의를 세우는 일을 해야 한다. 셋째, 그 모든 활동의 최종 목표는 그리스도의 몸(교회)을 견고히 세우는데 있다. 교회가 곧 하나님의 나라이며, 구원받은 자들의 모임인 동시에 파송된 공동체이기도 하다.

장재형 목사는 “성도들이 은사를 제대로 발견하고 활용하도록 돕는 일이 교회 리더십의 핵심 과제”라고 말한다. 은사는 때로 잘못된 방식으로 사용되면 분쟁의 씨앗이 되기도 한다. 예컨대 어떤 성도가 “내 은사가 더영적이다”라며 우월감을 갖거나, 반대로 “나는 눈에 띄는 은사가 없으니 쓸모없다”고 낙담하면, 교회는 건강한기능을 잃고 만다. 바울이 고린도전서 12장에서 눈이 손에게, 손이 발에게 우열을 논할 수 없음을 언급한 이유가바로 이것이다. 교회 안에서 각 은사는 오직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해 주어진 것이지, 개인의 명성과자부심을 위한 도구가 아니다.

은사를 나누고 협력하는 교회 문화를 세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상호 존중과 겸손”이 필요하다. 특히 현대 대형교회나 복잡한 구조를 가진 교회에서는, 주목받기 쉬운 은사와 그렇지 않은 은사 간의 간극이 크게 벌어질 수있다. 그러나 서비스팀, 행정팀, 재정팀, 주차 안내 봉사, 각종 돌봄 사역 등 눈에 띄지 않는 자리에 있는 이들의헌신 없이는, 결코 교회가 온전히 운영될 수 없다. 장재형 목사는 “서로 다른 은사를 발견하고 인정하며 함께협력할 때, 세상은 그 모습을 통해 하나님 나라가 이미 우리 가운데 임해 있다는 사실을 엿보게 된다”고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은사가 다양해도, 그 목적과 방향이 그리스도께 집중되어 있다면 오히려 교회는 더 온전한 통일성을이룰 수 있다. 이 ‘다양성 속의 통일성’이야말로 바울이 에베소서에서 제시하는 교회의 이상적인 모습이며, 장재형 목사가 끊임없이 설파하는 교회론적 핵심이다.

4. “교회의 참된 사명—세상 속으로 파송된 하나님의 나라 공동체”

장재형 목사는 교회의 방향성을 논할 때 자주 “In and Out”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는 교회가 모이는 것(In)과흩어지는 것(Out)의 두 가지 축을 균형 있게 잡고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초대 교회는 오순절 성령 강림으로내부적으로 뜨거운 예배 공동체가 되었지만, 동시에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끝까지 흩어져 복음을전했다. 교회가 이 두 측면 중 어느 한 쪽만 강조해도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오직 안에만 머문다면 세속과단절된 종교 집단이 되고, 밖으로만 나간다면 영적 교제와 예배의 힘을 잃어버리게 된다.

특히 20세기 중후반 ‘세속화 신학’이 대두하면서, 교회가 세상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담론이활발해졌다.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라는 개념도 같은 시기에 부각되었다. 이는 선교가 교회의 전략이나아이디어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이미 이 세상에서 구원 사역을 펼치고 계신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교회는 그저‘하나님의 선교’에 초청받아 동참하는 존재라는 것이다. 바울의 에베소서 전체 맥락을 놓고 보면, 그리스도께서이미 만물을 통일하시기 위해 역사 가운데 일하신다는 내용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교회가 이 사실을 깨달으면, 그리스도의 주되심을 어느 민족이나 문화 안에서도 선포할 수 있게 된다.

장재형 목사는 “전 세계가 하나의 지구촌으로 급변하고 있는 지금, 교회가 더 넓은 시각을 가져야 한다”고주장한다. 과거와 달리 다양한 인종과 언어,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한 지역 안에 공존한다. 이 과정에서 갈등도발생하지만, 동시에 복음 전파의 기회도 열린다. 교회가 만약 지역과 민족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은혜와사랑으로 접근한다면, 예수 그리스도의 화해의 메시지를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이는 곧 에베소서 1장10절에서 말하는 “하늘에 있는 것이나 땅에 있는 것이 다 그리스도 안에서 통일되게 하려 하심이라”는 우주적그리스도론과 결을 같이한다.

교회의 사회적 책임도 이 맥락에서 매우 중요하다. 우리가 종종 교회 사명 하면 전도와 예배만을 떠올리기쉽지만, 성경은 고아와 과부, 낙은애를 돌보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구약부터 신약까지 지속적으로 전달한다. 예수는 복음서에서 병든 자와 죄인들을 찾아가셨고, 초대 교회도 유무상통의 정신으로 약자들을 보살폈다. 장재형 목사는 “수직적 영성(예배와 기도)만 강조하면 세상과 분리된 종교 생활로 전락하기 쉽고, 수평적사랑(사회적 봉사)만 강조하면 영적 뿌리가 흔들릴 위험이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교회는 이 두 축을 균형 있게붙들어야 한다.

결국 교회는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예표하는 공동체다. 교회가 서로 하나 되고, 각자의 은사를 최대한발휘하여 상호 보완하고, 동시에 지역사회와 열방을 섬긴다면, 세상은 교회를 통해 하나님의 나라를 구체적으로체험하게 된다. 바울이 “하나님 나라가 ‘먹는 것과 마시는 것’이 아니라 오직 성령 안에서 의와 평강과희락이라”고 했던 말처럼, 교회는 이 세 가치(의·평강·희락)를 삶으로 드러내야 하는 증인이다.

장재형 목사는 가끔 “닭의 모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는 세속적 표현을 빌려, 결코 무너질 것 같지 않은 이세상 구조도 결국 ‘새 하늘과 새 땅’ 앞에서 해체될 것이며, 하나님의 나라가 완성된다는 종말론적 확신을 자주전한다. 우리가 아무리 부정하거나 더디게 느껴도, 하나님 나라는 이미 도래하고 있고 또 결국 완성에 이를것이다. 교회는 그 도래한 하나님 나라를 세상 가운데 조금씩 펼쳐 보이는 모델 하우스 같은 역할을 맡았다.

이처럼 교회가 은혜에 기초하고, 다양성 속 통일성을 추구하며, 세상으로 파송되어 하나님의 사랑과 공의를실천할 때, 비로소 주님의 몸으로서 제 역할을 감당할 수 있다. 하나 됨과 거룩함을 교회 안에만 가두지 않고, 세상속에 해방과 치유와 축복의 통로로 가져가는 것이 참된 교회의 사명이다. 장재형 목사는 “오늘날 교회가 때때로혼란과 갈등을 겪고 있지만, 에베소서 4장의 교훈, 즉 통일성과 다양성, 은혜와 선물, 그리고 파송된 공동체라는본질을 재발견함으로써 다시금 구원의 놀라운 역사를 써 나갈 수 있다”고 역설한다.

결국 교회는 구원받은 죄인들의 공동체이자, 세상에 흩어진 하나님의 나라의 전초 기지이다. 값없이 받은 은혜로하나 되어, 서로 다른 은사를 통해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고, 세상에 복음을 전하며 아픈 영혼을 치유해야 한다. 우리는 모두 포도원에 초대받은 품꾼들이며, 결코 자격으로 여기까지 온 게 아니라 은혜 덕분에 자리를 얻은사람들이다. 그 은혜의 힘으로 교회가 세상을 섬길 때, 세상은 교회를 통해 하나님 나라를 엿보고, 장차 완전하게임할 그 나라의 아름다움을 기대하게 된다. 이러한 놀라운 복음적 순환이 멈추지 않을 때, 닭의 모가지를비틀어도 새벽이 오듯, 하나님의 나라는 점점 더 선명히 드러날 것이다.

Rétablir l’essence du salut par la foi et par la grâce – Pasteur David Jang

Thème 1 : Le fondement de la doctrine du salut – la relation entre la Loi et la Promesse

Dans son interprétation de Galates 3, le pasteur David Jang met en lumière deux piliers : « la Loi » et « la Promesse (l’Alliance) », pour clarifier le cœur de la doctrine chrétienne du salut. Dans Galates 3, l’apôtre Paul s’adresse aux croyants d’origine païenne de l’Église de Galatie, afin de réfuter l’erreur des faux docteurs qui prônaient une « obéissance à la Loi » comme condition de salut. Il rappelle que la « Promesse » donnée à Abraham précède la Loi et que, en définitive, le salut procède de la promesse divine et de la foi.

Le pasteur David Jang introduit d’abord la grande trame biblique. L’appel d’Abraham en Genèse 12 amorce une promesse qui se réalise pleinement dans le Nouveau Testament par Jésus-Christ, montrant qu’il existait dès Abraham un moyen d’être justifié. Avant même l’instauration de la Loi, Abraham avait mis sa foi en Dieu (Gn 15.6), et Dieu la lui compta comme justice. Autrement dit, la « justification par la foi » n’est pas un concept nouveau ; elle était déjà présente bien avant le don de la Loi.

La Loi fut introduite après l’Exode, à travers l’alliance du Sinaï, sans annuler ni remplacer l’Alliance passée avec Abraham. Comme l’explique le pasteur David Jang, Paul décrit la fonction de la Loi en ces termes : « Elle a été ajoutée à cause des transgressions » (Ga 3.19). La Loi établit clairement la nature du péché et dévoile l’impuissance de l’homme devant Dieu. Être « enfermé sous la Loi » ne signifie pas une privation de liberté, mais indique que la Loi sert de « pédagogue » (Ga 3.24) : elle protège l’humanité pécheresse et la confronte à son état jusqu’à la venue du Christ.

Le pasteur David Jang ne rejette pas la Loi ; il souligne plutôt qu’elle n’a jamais eu pour vocation de sauver. Sa fonction est de définir le péché et de montrer que l’homme ne peut se justifier par ses propres forces. La Promesse, en revanche, met en évidence la souveraineté et la grâce unilatérale de Dieu. L’Alliance avec Abraham, antérieure à la Loi, s’est accomplie en la « semence » qu’est « le Christ ». La Promesse est ce cadre fondamental qui libère l’homme du péché et l’introduit devant Dieu, tandis que la Loi demeure un tuteur jusqu’à la réalisation de cette promesse.

Ainsi, le pasteur David Jang établit que l’ensemble de l’Écriture enseigne un salut acquis « par la foi » et non « par les œuvres », ou plus précisément par « la foi en la Promesse ». C’est le centre névralgique de l’Évangile : le perdre de vue, c’est sombrer dans le légalisme et rendre floue la grâce de la Croix, dénaturant par là même la foi chrétienne.

Thème 2 : L’Alliance d’Abraham et la justification par le Christ

L’Alliance d’Abraham constitue la racine du salut. Le pasteur David Jang se focalise sur l’épisode où Dieu justifie Abraham avant même que la Loi n’existe (Gn 15.6). Privé d’enfant, Abraham reçoit la promesse d’une descendance nombreuse comme les étoiles et croit en ce que Dieu lui annonce ; cette foi lui est imputée à justice. Il s’agit là d’un nouveau paradigme, dans lequel la justice ne dépend pas de l’accomplissement de la Loi ou d’œuvres, mais repose sur la confiance placée dans la promesse divine. Cette articulation entre foi, promesse et grâce parcourt l’histoire d’Israël et s’accomplit ultimement en Jésus-Christ.

Le pasteur David Jang montre ensuite comment Paul développe cette vérité dans Galates 3, dans l’Épître aux Romains et dans l’Épître aux Hébreux. Paul insiste sur le point selon lequel, dans l’Alliance d’Abraham, le mot « descendance » désigne « une seule personne » : le Christ (Ga 3.16). C’est par ce « descendant » unique que la promesse s’étend à l’humanité entière. L’Alliance d’Abraham n’est donc pas circonscrite à un peuple ou à une culture, mais relève du projet universel de Dieu pour sauver l’humanité du péché.

Cette « descendance » qu’est le Christ illustre le cœur de l’Évangile : la justice obtenue par la foi. La Loi était impuissante à régler définitivement la question du péché, mais dans le Christ, elle trouve sa résolution. De la même manière qu’Abraham fut justifié par la foi dans la promesse, quiconque place sa foi en Jésus-Christ reçoit la justice divine. Cela franchit la barrière séparant Juifs et non-Juifs, car le salut ne repose pas sur la circoncision ni sur le respect d’une Loi, mais sur la grâce acquise à la Croix et scellée par la Résurrection.

Selon l’analyse du pasteur David Jang, le salut est « entièrement issu de la grâce et se conclut dans la grâce ». L’Alliance d’Abraham en est l’esquisse. De même que la promesse faite à Abraham était un don gratuit de Dieu, la justice qui nous parvient en Christ procède du même principe. L’Église devient alors la « descendance » d’Abraham, dont les frontières s’élargissent à l’univers entier : chaque croyant, justifié, acquiert le statut d’enfant de Dieu et devient membre de Sa famille.

Thème 3 : La justification par la foi et l’impossibilité de l’observance parfaite de la Loi

Le pivot de la foi chrétienne consiste en la « justification du pécheur », et selon le pasteur David Jang, cette justification s’effectue non pas par l’obéissance à la Loi, mais par la foi. La Loi, en effet, égrène une multitude d’injonctions : « fais ceci », « ne fais pas cela », en définissant précisément ce qu’est le péché. Mais elle met aussi crûment en évidence l’incapacité de l’homme à s’y conformer en tout point. Jésus, par exemple, rappelle que convoiter dans son cœur revient déjà à commettre un adultère, insistant ainsi sur la dimension intérieure et invisible du péché. Devant une telle profondeur d’exigence, aucune observance extérieure ne peut être parfaite, car il faudrait également une pureté sans faille dans les pensées et les motivations. Face à ce mur infranchissable qu’est la Loi, l’homme échoue fatalement s’il espère trouver en elle sa justification.

Paul décrit cette réalité en affirmant que « tous les hommes sont enfermés sous le péché » (Ga 3.22). La Loi agit comme une prison : elle montre que personne ne peut se libérer par ses propres forces. Ainsi, son rôle n’est pas d’octroyer le salut, mais de manifester le péché. C’est là que l’Évangile brille de tout son éclat. Par la foi, le pécheur est libéré des chaînes du péché ; par la foi, il échappe à la condamnation qu’expose la Loi. C’est le sens même de la parole du prophète Habacuc : « Le juste vivra par sa foi » (Ha 2.4), qu’adopte l’apôtre Paul pour assoir la doctrine du salut.

Arrivé à ce stade, le pasteur David Jang rappelle l’essence de la foi : elle n’est pas un consentement intellectuel ni une simple émotion, mais un abandon complet entre les mains du Christ crucifié pour nous. Grâce à cette foi, la justice du Christ nous est comptée, et nous sommes jugés justes devant Dieu. Un croyant ainsi justifié n’a plus à redouter le joug de la Loi : il revêt la condition de fils et peut servir Dieu avec joie et liberté.

En précisant ce principe de la justification par la foi, le pasteur David Jang coupe court à toute prétention d’accéder au salut par l’observance légale. Cela permet à l’Église de retrouver la pureté de l’Évangile, d’abandonner la quête illusoire du salut par les bonnes œuvres ou par l’effort propre, et d’adopter une existence profondément ancrée dans la grâce et la foi.

Thème 4 : La sanctification et la liberté par l’Esprit

Pour autant, la justification n’est pas qu’un changement de statut : elle transforme réellement la vie du croyant. Le pasteur David Jang insiste ici sur l’action du Saint-Esprit. Après avoir discuté la relation entre la Loi et la Promesse, ainsi que le principe de la justification, il démontre que la sanctification opérée par l’Esprit représente l’aboutissement et la fleur de la foi. Galates 5-6 et Romains 8 constituent, à cet égard, des textes fondamentaux : ils décrivent la nouvelle vie des croyants justifiés par la foi et conduits par l’Esprit.

L’Esprit Saint, qui habite le croyant, suscite un renouvellement intérieur que l’effort humain seul ne peut réaliser. Sous la Loi, il est impossible de rompre vraiment avec les habitudes pécheresses, encore moins d’extirper de l’âme la convoitise et le désir corrupteur. Cependant, par la présence de l’Esprit, c’est le cœur qui est régénéré. L’Esprit inscrit la Loi de Dieu sur la « tablette du cœur » (Jr 31.33 ; Hé 10.16), faisant alors jaillir les « bonnes œuvres », fruits de Sa puissance créatrice.

Le pasteur David Jang éclaire particulièrement la « liberté intérieure » que confère l’Esprit. Le chrétien n’agit plus par crainte du châtiment, sous la pression d’une contrainte légale, mais il sert Dieu en tant qu’enfant libre, mû par l’amour et la reconnaissance. Dans l’Esprit, nous sommes affranchis et, dans cette liberté, nous pouvons aimer et servir autrui. Voilà ce qui distingue radicalement la vie dans la grâce de la vie sous le légalisme. Hier, on s’efforçait d’obéir à des prescriptions externes ; désormais, l’Esprit produit une transformation intérieure, nous invitant à obéir à Dieu avec joie.

En outre, la sanctification par l’Esprit dépasse la seule dimension personnelle, pour s’étendre à la communauté et à l’univers tout entier. Le pasteur David Jang renvoie au chapitre 8 de l’Épître aux Romains, où la création entière attend d’être délivrée, en espérant la manifestation des fils de Dieu. L’œuvre de l’Esprit conduit progressivement les croyants vers la ressemblance du Christ (Ga 5.22-23) et s’inscrit ainsi dans le projet divin de rétablir l’ordre de la création.

Thème 5 : Une théologie de l’unité – Abattre les cloisons entre Juifs et Païens

Fort de la doctrine du salut, du rôle de l’Esprit et de la vision de l’Alliance d’Abraham, le pasteur David Jang attire alors l’attention sur la vocation de l’Église à l’unité. À la fin de Galates 3, Paul déclare : « Il n’y a plus ni Juif ni Grec, il n’y a plus ni esclave ni libre, il n’y a plus ni homme ni femme, car vous êtes un en Jésus-Christ » (Ga 3.28). Cette affirmation s’applique non seulement au salut individuel, mais elle illustre la puissance de réconciliation et d’intégration communautaire propre à l’Évangile.

Le pasteur David Jang souligne avec force que, dans l’Église, aucune forme de discrimination raciale, sociale ou genrée ne saurait subsister. Les tenants du légalisme voulaient imposer la circoncision aux païens, voire leur faire adopter la culture juive, restreignant ainsi l’accès au salut. Or Paul réinterprète l’Alliance d’Abraham : par le « descendant » unique, le Christ, la promesse s’élargit à toutes les nations, si bien que les croyants non juifs deviennent aussi, par la foi, héritiers d’Abraham.

Cette démolition du « mur » s’accorde avec l’épître aux Éphésiens : le Christ a abattu le mur de séparation (Ep 2.14-16), abolissant ainsi les frontières posées par la Loi, les barrières ethniques et culturelles. L’Église est l’endroit où, sous un seul baptême (Ep 4.5) et un unique Évangile, des personnes venues d’horizons variés vivent en frères et sœurs. Mais il ne s’agit pas que d’un idéal théorique. L’unité ecclésiale appelle à une pratique concrète d’hospitalité, d’amour et de service réciproque.

Le pasteur David Jang insiste sur le fait que l’Évangile, loin de se cantonner au salut individuel, agit sur les relations sociales, suscitant réconciliation et paix. Il franchit les frontières géographiques, ethniques, culturelles et transforme l’hostilité en pardon. C’est là la vocation « cosmique » de l’Église : l’Alliance d’Abraham, qui annonçait un « pays promis », se déploie désormais dans la réalité spirituelle du Royaume de Dieu, où tous ceux qui croient se rassemblent.

Thème 6 : La restauration eschatologique et la vocation de l’Église

Enfin, le pasteur David Jang conclut son propos en ouvrant la perspective eschatologique. L’Alliance entamée avec Abraham aboutit, en Jésus-Christ, à la justification de ceux qui croient. L’Esprit Saint sème en eux la sanctification. Et en parallèle, l’humanité tout entière et l’univers attendent leur restauration finale, dans l’espérance de la fin des temps. « La création attend avec un ardent désir la révélation des fils de Dieu » (Rm 8.19), et l’Apocalypse décrit le tableau d’une adoration universelle : « Saint, Saint, Saint » (Ap 4). C’est le terme ultime, que la Loi, à elle seule, ne pouvait atteindre, mais qu’accomplit la grâce de Dieu. Le salut englobe donc plus que la seule question intérieure de l’homme : il rejoint l’ensemble de la création dans une perspective cosmique.

Dans cette vision eschatologique, la vocation de l’Église se précise. Le pasteur David Jang met en garde : si l’Église se détourne de l’Évangile authentique ou s’embourbe dans le légalisme, la puissance de la Croix s’affadit, et la profondeur du salut se brouille. Les dérives sectaires, le rigorisme légaliste ou le repli identitaire risquent alors de faire obstacle au plein épanouissement de la foi et de l’espérance.

Cependant, lorsque l’Église demeure attachée au vrai message de l’Évangile et se réjouit de la liberté et de la joie de la justification par la foi, elle devient cette communauté de pèlerins en marche vers la patrie céleste. Elle en anticipe déjà la réalité, puisque la vie renouvelée par l’Esprit, tant au niveau personnel que collectif, révèle au monde un avant-goût du Royaume de Dieu et appelle chacun à découvrir la voie de l’éternité, de la foi et de la grâce.

À la lumière de cette espérance eschatologique, la Promesse et la Loi, Abraham et le Christ, la foi et la justification, l’Esprit et la sanctification, l’unité de l’Église et la restauration cosmique s’entrelacent. Tous ces éléments convergent en Jésus-Christ, vers l’achèvement glorieux qu’est le Royaume de Dieu. L’accès à ce Royaume n’est pas accordé par l’accomplissement de la Loi ou le mérite humain, mais uniquement par la grâce et la foi. L’Église a pour mission de proclamer cette vérité fondamentale au sein du monde.

Conclusion

Le commentaire du pasteur David Jang sur Galates 3, s’inscrivant dans une perspective soteriologique, présente une large synthèse théologique de l’Écriture. Il montre comment la Loi et la Promesse s’articulent pour révéler la profondeur de la grâce divine, préparée de longue date, et souligne qu’avant même la Loi, l’Alliance d’Abraham établissait déjà le principe de la « justification par la foi ». La Loi ne sauve pas, elle ne fait que révéler le péché, alors que le Christ rend le salut effectif. Dans ce cadre, le croyant, justifié par la foi, se trouve transformé par l’Esprit, libéré et appelé à construire une communauté unie, au-delà des distinctions ethniques et culturelles. Cette unité nourrit par ailleurs l’espérance d’une restauration de l’univers lors des temps de la fin.

Au fond, le pasteur David Jang place l’accent sur la nécessité de maintenir l’Évangile dans toute sa pureté et toute sa centralité. Il invite à fuir toute forme d’« autre évangile » et à tourner le regard vers la Croix et la Résurrection du Christ, à recevoir avec confiance la promesse du salut conférée par la foi. Ce socle doctrinal affranchit l’Église de l’étau du légalisme ; il l’appelle à entrer dans la célébration de Dieu avec une authentique liberté, à suivre l’Esprit dans l’amour et le service, et à avancer en pèlerin vers la cité céleste. Ainsi, comme héritière de la Promesse, l’Église prend part au dessein glorieux de Dieu et brille de la lumière de l’Évangile dans le monde d’aujourd’hui.

通过信心与恩典恢复救恩的本质 —— 张大卫牧師

主题1:救恩论的根基——律法与应许的关系

张大卫牧師在对加拉太书第3章进行释经的过程中,通过“律法与应许(盟约)”这两大支柱,明确地指出了基督教救恩论的根基。加拉太书第3章中,保罗针对加拉太教会中的外邦信徒,驳斥了假教师所宣传的“靠守律法得救”的错误教义,强调赐给亚伯拉罕的“应许”(盟约)在律法之先,并且最终的救恩是基于上帝的应许以及对这一应许的信心。

张大卫牧師在阐述这一主题时,首先展现了圣经的大脉络。自创世记第12章中上帝对亚伯拉罕的呼召开始,这个应许在新约里通过耶稣基督彻底应验,表明了早在亚伯拉罕时期,就已经开启了“因信称义”的道路。亚伯拉罕在律法颁布前430年就相信了上帝(参创15:6),上帝也因此把他的信算为义。也就是说,早在律法出现之前,“因信称义”的救恩模式就已然存在了。

律法是在出埃及之后,通过西奈山之约颁布的,但它并不是为了废除或改变亚伯拉罕之约(应许)。根据张大卫牧師的阐述,保罗在加拉太书3章19节指出:“律法是为过犯添上的”。也就是说,律法的功能是使人认识到罪是罪,赤裸裸地显明人性在上帝面前的无能为力。所谓被囚禁在律法之下,并不是为了剥夺自由或压制人性,而是在基督到来之前,将犯罪的人类保护在一个范畴内,使其觉醒并认识到自身的罪。这也就是所谓的“训蒙的师傅”(加3:24)功能。

张大卫牧師并不否定律法本身,而是强调律法本来就不具备救赎的功能。律法无法使人得救,它只是用来定义罪,并且使人意识到无法靠自己成就公义。而相对的,应许完全显明了上帝主权性的 unilateral(单方面)恩典。亚伯拉罕之约的时间先于律法存在,这一应许最终借着“那一个后裔”——基督得以实现。应许所展现的是让人类从罪中得自由,并能坦然来到上帝面前的根本性框架;律法在应许未到来之前,只是担任了启蒙的角色。

通过此点,张大卫牧師总结出整本圣经所展现的救恩根本不在于“行为”,而在于“信心”,更准确地说,是对“应许”的信心,这正是福音的核心。若忽视这一核心,人就会陷入律法主义,使十字架的恩典变得黯淡,最终也会损害基督教信仰的本质。对此他提出了严厉的警告。

主题2:亚伯拉罕之约与借基督得来的称义

亚伯拉罕之约是救恩的起源。张大卫牧師特别关注亚伯拉罕在律法颁布前就被上帝称为义的事件(参创15:6)。当时亚伯拉罕尚无子嗣,但他得到了“后裔必如天上繁星般众多”的应许,并且信了上帝,结果上帝就以他的信为义。这说明称义不是通过守律法或行为,而是完全依赖对上帝应许的信任,是一种“新模式”的开端。信心、应许、恩典彼此相连的这个模式,在此后以色列的历史中不断延续,并在耶稣基督里得到成全。

张大卫牧師详尽地分析保罗在加拉太书第3章以及罗马书、希伯来书中对此的论证。保罗指出,亚伯拉罕之约中的“子孙”并不是指众多的后裔,而是指“一个人”(加3:16)。这个后裔就是耶稣基督,通过他,这个应许就扩展到了全人类。从这个角度看,亚伯拉罕之约并不仅仅是针对犹太民族的特殊盟约,而是上帝为拯救世人而在世界历史进程中所制定的计划。

借着“这位后裔”基督而彰显的福音核心,就是因信称义。律法无法彻底解决罪的问题,但在基督里却得以成全。正如亚伯拉罕那样,因为相信上帝的应许被称为义,如今所有相信耶稣基督的人,也能得到称义的大门敞开。这既跨越了犹太人和外邦人的界限,也表明救恩并非源自割礼或律法上的行为,而是唯独凭借基督的十字架与复活所赐下的恩典。

对此,张大卫牧師将其视为“以恩典开始,并以恩典完成的救恩之路”,并强调亚伯拉罕之约正是这条道路的起点和预表。正如上帝赐给亚伯拉罕之约是出于恩典的应许,今天我们在基督里得来的称义也遵循同样的原则。如此,教会就成为包含全人类在内的“亚伯拉罕的子孙”共同体,每个信徒都因基督的义而成为上帝的家人,经历从身份到生命本质的转变。

主题3:因信称义与守律法的不可能性

信仰的核心是“罪人被称为义”,而达成称义的方式并不是守律法,而是信心。张大卫牧師强调,律法包含了大量“当行”“不可行”的规条,清晰地界定了罪,但人却无法完美地遵行这些律法。耶稣的教导同样证实了这一点:主耶稣说,若心中动了淫念,就已经是犯奸淫了。他将律法的衡量标准延伸至内心深处。因此,人若想在行为和思想上都完全顺服,就几乎是不可能的。这时,律法就成为人无法逾越的高墙,想要靠律法称义,最终只会以失败告终。

保罗用“所有人都被圈在罪中”(加3:22)来描述这一状况。律法就像一座监狱,把所有人都关在罪的囚牢之中,使他们看清,无法凭自己的力量逃离。由此,人就更明白,律法根本不是救恩的途径,而只在显明人之罪的意义上起作用。也就在此时,基督的福音才真正释放出亮光:借着信心,人就能斩断罪的锁链,并且从律法为显明罪所带来的定罪中得以自由。正如先知哈巴谷所说:“义人必因信得生”(哈2:4),这句话成为保罗建构救恩论的基石。

在这一环节中,张大卫牧師特别强调信心的本质。信心不只是理性上的认同或情感上的感动,而是完全信靠并倚赖为我钉在十字架上的耶稣基督。借着这样的信心,基督的义就被算在我身上,我也能在上帝面前被视为义人。在这种恩典之下,获得称义的人再也不必活在律法下的沉重压力中;他已得了儿子的身份,可以在自由与喜乐中侍奉上帝。

通过这种方式,张大卫牧師明确了因信称义的真理,纠正了一切妄图靠守律法得救的错误尝试。这样的纠正使教会能够重新回到福音的核心,抛弃依赖人力或善行来换取救恩的做法,而完全根据恩典与信心过真正的福音生活。

主题4:借着圣灵的成圣与自由

被称义的信徒不仅是身份上的改变,也会在实际生活中经历改变。对此,张大卫牧師强调了圣灵的作用。继阐述律法与应许的关系、因信称义的原则之后,他把圣灵带来的成圣过程视作信仰的果实与结晶。加拉太书5-6章与罗马书8章是谈及圣灵如何带领信徒走上新生命之路的关键经文。

圣灵住在信徒心中,使原本依靠人力不可能的转变成为可能。在律法之下,人无法断绝罪的习性,也无法清除内心深处的贪念、邪欲,但因圣灵内住,人的内心才真正开始经历深层次的更新。圣灵将上帝的律法刻在我们的心版上(参耶31:33,来10:16),引发由内而外的力量,自然而然地结出善行,也就是公义生活的果子。

张大卫牧師在成圣的过程中,强调“借圣灵得来的内在自由”。信徒不再受律法强制的压迫,也不再是惧怕惩罚而勉强行善,而是以儿子的身份、在爱与感恩的动机中自由地顺服上帝。圣灵所赐的自由能使人去爱、去服事、去行善,与之前在律法主义下勉强遵守外在规条的方式有本质的不同。过去是竭力以外在行守来获得称义,现在则是因圣灵而得着心思意念的更新,自发而喜乐地顺服主。

此外,借圣灵而来的成圣,不仅是个人层面的变化,也与群体乃至宇宙层面的恢复紧密相关。张大卫牧師在讲解罗马书第8章时提到,万物都在切望上帝儿女显现。而随着圣灵在信徒中展开的工作,信徒也将最终参与到受造物得释放的过程里。圣灵的果子(加5:22-23)象征着信徒逐渐活出基督的样式,也预示着通过上帝的大能,整个受造界都会被带入更新当中。

主题5:合一神学——拆毁犹太人和外邦人之间的墙

在救恩论、圣灵论以及亚伯拉罕之约所启示的信心原则之上,张大卫牧師接着强调教会共同体的合一。加拉太书第3章末尾,保罗宣告:“并不分犹太人和希利尼人,自主的和为奴的,或男或女,因为你们在基督耶稣里都成为一了”(加3:28)。这不仅关乎个人救恩,更是展现了福音在群体和宇宙层面上所带来的整合与和解力量的核心宣告。

张大卫牧師由此强调,在教会里,不再允许种族、社会地位、性别等方面的歧视。律法主义者想对外邦人强加割礼,要求他们遵守犹太文化,从而把救恩的门槛抬高。但保罗则重新诠释了亚伯拉罕之约具有本质上的跨文化、面向全人类的特质。亚伯拉罕的盟约因“那一个后裔”耶稣基督而扩展到全世界,使外邦人也能凭信心得到与亚伯拉罕一样的恩典。

这种“拆毁藩篱”的神学与以弗所书中提到的拆毁隔断的墙(参弗2:14-16)异曲同工。律法上设定的藩篱、民族主义的排他观念、以及文化障碍,都在耶稣基督里被打破。教会是由各种背景的人,共同在一主、一信、一洗(弗4:5)与同一福音之下组成的上帝家庭。并且,这种合一不仅停留在口号层面,而是要求教会在实际中彼此接纳、彼此相爱、彼此服事。

张大卫牧師透过这一合一愿景,说明福音并不仅仅关乎个人灵魂的救赎,也改变社会关系,追求人与人之间的和解与和平。福音的力量能够跨越地域、民族、文化的边界,把冲突与仇恨转化为和解与饶恕。这正是张大卫牧師所强调的教会在宇宙层面使命的一部分。亚伯拉罕之约最终所应验的“应许之地”,在属灵层面上延伸为所有信徒共同进入的上帝之国。

主题6:末世性的恢复与教会的使命

最后,张大卫牧師把所有的论述引向末世性的展望。自亚伯拉罕之约开启的应许,借着耶稣基督带给信徒因信称义的恩典,又通过圣灵内住使信徒走向成圣之路。同时,人类和宇宙层面的完全更新仍在等待着将来上帝终极的应许。这与末世性的盼望相连接:万物都切望上帝儿女显现(罗8:19),受造之物盼望在上帝面前一起发出“圣哉!圣哉!”的赞美(启4章),这是律法所无法达成的终极目标,也意味着救恩并不限于解决人内在或个人的问题,而是覆盖宇宙规模的恢复。

在这末世性的展望中,教会的使命更加清晰。张大卫牧師指出,若教会传讲“别的福音”,或沉迷于律法主义,就会使十字架的大能黯淡,从而削弱救恩的本质。这些异端教导、错误的律法主义、以及文化上的排他观念,都会让教会远离福音的生机,也阻碍主所预备的完全复兴与盼望。

但若教会紧紧抓住真正的福音,在因信称义的喜乐与自由中生活,那么教会就会在这世上成为寄居者、朝向应许之地天国前进的朝圣群体。在这旅程中,教会会以生命和共同体见证,先行预演上帝国度的荣耀。圣灵带来的更新和改变,将吸引人来发现永生之道、信心之道、恩典之道。

在对末世性恢复的渴望中,从应许与律法、亚伯拉罕与基督、信心与称义、圣灵与成圣,直到群体合一与宇宙更新,一切都在基督里合而为一,并以基督为中心,使教会得以仰望那应许中荣耀的终局——也就是永恒的上帝国度。那个国度并不是靠守律法或人的功绩才能进入,而是唯独因恩典与信心而得。教会则担当起向世人勇敢宣告这一真理的福音使者之使命。

结语

张大卫牧師基于加拉太书第3章所展开的这套救恩论阐释,包含了对整个圣经的宏观神学洞察。透过律法与应许的关系,我们看见上帝的恩典早已在历史中预备;透过亚伯拉罕之约,我们看见“因信称义”的模式在律法尚未颁布时已然确立;律法并非救恩的手段,而是让人知罪的工具;救恩唯独在基督里借着信心而得。因信称义的信徒也会在圣灵的带领下经历成圣与自由,并在教会里超越犹太人与外邦人、男女等区分,真正地合而为一。最终,这合一指向宇宙性的恢复与末世性的盼望。

归根究底,张大卫牧師所要强调的是福音的绝对重要性与纯正性。唯有远离“别的福音”的危险,牢牢抓住耶稣基督的十字架和复活,并相信这借基督所赐的救恩应许,才是基督信仰的中心所在。这样的神学立场能够帮助教会脱离律法主义的束缚,自由地敬拜上帝,并在圣灵的带领下,以爱与服事的方式活出基督的生命,同时也作为朝圣者迈向天国。这样,教会便能成为承受应许的人,参与到上帝荣耀计划的进程中,在这个时代中真实地彰显福音之光。

信仰と恵みによる救いの本質の回復 – 張在亨牧師

主題1:救済論の基盤 ― 律法と約束の関係

張在亨牧師はガラテヤ人への手紙3章を注解していく中で、「律法」と「約束(契約)」という二つの柱を通じてキリスト教の救済論の核心を明確に示している。ガラテヤ3章では、パウロがガラテヤ地方の異邦人信徒たちに向けて、偽教師たちが主張する「律法の遵守による救い」という誤った教えを反駁し、アブラハムに与えられた“約束”が律法に先行していること、そして究極的に救いは神の約束と、それを信じる信仰によって成し遂げられるものであることを強調している。

張在亨牧師はこのテーマを扱うにあたり、まず聖書全体の大きな流れを提示する。創世記12章でアブラハムが召された時点から始まったこの約束は、新約に至りイエス・キリストを通じて完全に成就される。そしてこの約束による義認の道は、アブラハムの時代からすでに開かれていたことを示す。アブラハムは律法が与えられる430年前に神を信じ(創15:6)、神はその信仰を彼の義と見なされた。すなわち、律法が登場する遥か以前からすでに「信仰によって義とされる」という救いのパラダイムが存在していたということだ。

一方、律法は出エジプト後、シナイ山で結ばれた契約によって与えられたが、これはアブラハム契約(約束)を無効化したり変更したりするためのものではなかった。張在亨牧師の解説によると、パウロはガラテヤ3章19節で「罪過のゆえに加えられたもの」として律法の機能を語っていることに注目する。すなわち律法は、人が自らの罪を罪として認識するようにし、人間の罪深さを赤裸々に示すことで、どれほど徹底的に人は無力であるかを悟らせる役目を担うのだ。律法のもとに閉じ込められているという表現は、決して自由を奪うためや人間を抑圧するためではなく、キリストが到来されるまで罪人である人類を保護し、その罪を自覚させる「養育係」(ガラ3:24)の役割を果たしてきたことを意味している。

だからといって張在亨牧師は律法そのものを否定しているわけではなく、律法が本来の救いの手段ではなかったという点を強く主張する。律法には人を救いに導く力は全くなく、ただ罪を定義し、人が自力で義を成し得ないことを悟らせる役割しかない。それに対し、約束はまったくの神の主権による一方的な恵みを示している。アブラハム契約は律法に先立ち、この約束は「キリスト」というただ一人の子孫を通じて成就される。約束は人類が罪から解放され、神の御前に近づくための根本的な枠組みであり、律法はその約束の到来まで私たちを導く家庭教師として機能したにすぎないのだ。

こうして張在亨牧師は、聖書全体が指し示すのは、人間の救いが「行い」ではなく「信仰」、より正確に言えば「約束への信仰」によってもたらされるという真理であり、これこそ福音の核心であると説く。この核心を見失うと律法主義に陥って十字架の恵みが霞み、結果的にキリスト教信仰の本質が損なわれてしまうと警告する。

主題2:アブラハム契約とキリストによる義とされる道

アブラハム契約は救いの起源となる。張在亨牧師は、アブラハムが律法以前に神から義と認められる出来事(創15:6)に注目する。子どもがいなかったアブラハムに対して、神は空の星のように子孫を増やすと約束された。アブラハムがこれを信じたとき、神はその信仰を彼の義と見なされたのである。これは律法の遵守や行いによって義とされるのではなく、ひたすら約束を信頼する信仰によって義が認められるという「新しいパラダイム」の幕開けであった。そして信仰、約束、恵みへとつながるこのパラダイムは、イスラエルの歴史を経てイエス・キリストによって完成される。

張在亨牧師は、パウロがガラテヤ3章やローマ書、ヘブル書でこの点をいかに論証しているかを詳説する。パウロはアブラハム契約における「子孫(子)」が多数ではなく「一人」を指す(ガラ3:16)と言及し、その子孫がイエス・キリストであると明示する。そしてキリストを通じて、この約束は全人類へと拡大していく。そう見ると、アブラハム契約は単なるユダヤ民族だけの特殊な契約ではなく、人類全体を罪から救おうとされる神の世界史的計画であったことが分かる。

この「子孫」であるキリストを通じて表れる福音の核心は「信仰による義」である。律法では不可能だった罪の問題の解決が、キリストの内において成し遂げられたのだ。アブラハムが契約を通じて信仰により義とされたように、私たちもイエス・キリストを信じる信仰によって義と認められる道があらゆる民族に開かれた。そこにはユダヤ人・異邦人の区別はなく、割礼や律法的行為からもたらされる救いでもなく、ただキリストの十字架と復活による恵みによって与えられる救いなのである。

張在亨牧師はこれを「恵みに始まり、恵みによって完成される救いへの道」と解釈し、アブラハム契約はその出発点であり、また前兆であることを示す。アブラハムに与えられた契約が約束としての恵みであったように、私たちがキリストにあって受け取る義も同じ原理で動いている。かくして教会は、全人類を包含するアブラハムの子孫の共同体となり、各信徒はキリストの義にあずかって神の家族、すなわち子どもとしての身分の変化を経験することができるのだ。

主題3:信仰による義とされることと、律法遵守の不可能性

信仰の核心は「罪人の義とされる」ことであり、その義を得る方法は律法の遵守ではなく信仰である。張在亨牧師は、律法が「これをしなさい」「これをしてはならない」と無数の規定で罪をはっきり定義する一方、人間がその律法を完全に守ることは不可能であると強調する。これはイエスの教えからも見て取れる。イエスは「情欲を抱けばすでに姦淫を犯したも同然」と言い、律法の基準を心の領域にまで広げられた。つまり人は行いのレベルだけでなく、心や思いに至るまで完璧に従わなければならないわけだが、現実的にはそれは不可能に近い。ここで律法は、人間に越えられない高い壁として立ちはだかり、律法によって義を得ようとする試みは最終的に挫折に終わってしまう。

パウロはこれを「すべての人を罪の下に閉じ込めた」(ガラ3:22)と表現している。律法はあたかもすべての人を“罪という牢獄”に入れ、そこから自力では絶対に脱出できないことをはっきり示す。これによって、律法が本当の意味で救いの手段ではなく、罪を浮き彫りにする役割であることが明白になるのだ。ここでこそキリストの福音が光を放つ。信仰によって罪の鎖を断ち切ることができ、信仰によって律法が完全に暴き出す罪の責めから自由になることができる。これは「ただ信仰によって生きる」(ハバクク2:4)という旧約の預言者ハバククの言葉とも響き合い、パウロが救済論の根幹として扱う主要な真理でもある。

張在亨牧師はこの段階で、信仰の本質を強調する。信仰とは単なる知的同意や感情の動きではなく、「私のために十字架にかけられたイエス・キリストを全幅で信頼し、拠り頼む」ことである。その信仰によってキリストの義が私に転嫁され、私は神の御前に義とされた者として立つことができる。このとき、義とされた者はもはや律法の下で重圧を感じ続ける必要はない。彼はすでに子どもの身分を得て、自由と喜びのうちに神に仕えることが許されるのである。

このように張在亨牧師は、信仰による義の原理を明確に提示することで、律法遵守による救済を目指すあらゆる試みを修正する。そしてその修正こそが教会共同体に福音の本質を回復させ、人間的な努力や善行によって救いを得ようとする試みを捨てさせ、ただ恵みと信仰に基づいた真実な福音的な生き方を実践させる原動力となるのだ。

主題4:聖霊による聖化と自由

義とされるに至った信徒は、単に身分が変わるだけではなく、実際の生活にも変化が生じる。張在亨牧師はここで聖霊の働きを強調する。律法と約束の関係、義とされることの原理に続いて、聖霊による聖化の過程こそ信仰の結実であり、実りである。ガラテヤ5~6章やローマ8章は、信仰によって義とされた信徒に、新たな生き方を示す聖霊の役割を語る重要な本文だ。

聖霊は信徒の心に内住することによって、人間の力では不可能な変化を可能にする。律法の下では罪の習慣を絶つこともできず、貪欲や情欲といった内面的な罪を取り除くこともできなかったが、聖霊が内住することで、心の深い部分から変革が始まる。聖霊は神の律法を私たちの心の板に刻み(エレミヤ31:33, ヘブライ10:16)、善き行いや正しい生き方が自然に溢れ出てくるよう導く力の源となる。

張在亨牧師は、聖化の過程において聖霊がもたらす「内的自由」を特に強調する。もはや信徒は律法に強制されて圧迫を受け、罰を恐れていやいや善を行う者ではない。彼は子どもとして、自由な神の子として、愛と感謝を動機として神に従うことができる。聖霊によって人は解放され、その自由によって人を愛し、仕え、善行を為すようになる。ここに律法主義的なアプローチとの本質的な違いがある。かつては外面的な規律を守ろうと必死だったが、今は聖霊によって内面が変革され、自発的に神に喜んで従う生き方を送れるのだ。

さらに聖霊による聖化は個人的な変化にとどまらず、共同体や宇宙的次元の回復ともつながっていく。張在亨牧師はローマ8章と合わせて、「被造物が神の子どもたちの現れを待ち望んでいる」という宇宙的回復に言及する。聖霊の働きによって信徒はついには被造物の解放に参加するようになり、ガラテヤ5章22~23節に示される聖霊の実は、キリストの御姿に倣うプロセスとして実り、最終的にすべての創造の秩序を回復する神の計画に加わる道となるのだ。

主題5:一つとなる神学 ― ユダヤ人と異邦人の隔ての壁を取り壊す

救済論と聖霊論、そしてアブラハム契約を通した信仰の原理に基づき、張在亨牧師は教会共同体の一体性に注目する。ガラテヤ3章の終わりでパウロは「ユダヤ人もギリシア人も、奴隷も自由人も、男も女も皆キリスト・イエスにあって一つである」と宣言する(ガラ3:28)。これは単に個人の救いにとどまらず、共同体レベル、そして宇宙的次元で福音がもたらす統合と和解の力を示す中心的な言明である。

張在亨牧師は、これによって教会の内部において、人種的、社会的、性別的な差別はもはや容認されないという真理を強調する。律法主義者たちは異邦人に割礼を強要し、ユダヤの文化を押し付けることで救いへの道を狭めようとしたが、パウロはアブラハム契約が本質的に国際的、かつ全人類的な性格を持つ約束であると再解釈した。アブラハムの契約は「一人の子孫」イエス・キリストを通じて全世界に拡大し、この結果、異邦人であっても信仰によってアブラハムの子孫となる恵みにあずか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ったのである。

この「壁を取り壊す」神学は、エペソ書2章14~16節の「隔ての壁を打ち壊す」という主題とも響き合う。律法的な境界、民族的な排他性、文化的な障壁はイエス・キリストにおいて崩される。教会は多様な背景を持つ人々が、一つの信仰、一つのバプテスマ(エペソ4:5)、一つの福音のもとに集まり、神の家族を形作る場所である。そしてこの一体性は単なるスローガンではなく、互いを歓迎し愛し仕える共同体的実践を要求する。

張在亨牧師は、この一体性のビジョンを通じて、福音が単に個人の魂の救いにとどまらず、社会的関係を変化させ、人類の和解と平和をも追求する力を持つことを示している。福音は地理的・民族的・文化的境界を飛び越え、対立や憎悪を和解と赦しに変える力を持っている。それこそが張在亨牧師が強調する教会の宇宙的使命の一つであり、アブラハム契約が最終的に実現する「約束の地」は霊的な意味において、すべての信じる者が共に住む神の国へと拡張されていくのである。

主題6:終末論的回復と教会の使命

最後に張在亨牧師は、ここまでの議論を終末論的な展望へと導く。アブラハム契約から始まった約束は、イエス・キリストを通じて信じる者に義を与え、聖霊の内住によって聖化の道を歩ませていく。そして同時に、人類全体と宇宙規模の回復が待ち望まれているが、それは終末論的な希望と結びついている。被造物は神の子どもたちの現れを待ち望み(ローマ8:19)、被造物すべてが神を讃え「聖なるかな、聖なるかな」と叫ぶ黙示録の栄光の礼拝の姿(黙示録4章)は、律法によっては決して到達し得なかった究極の目的地である。これは救いが単に人間個人の内面の問題解決に終わらず、全宇宙的スケールの回復をも包含していることを意味する。

この終末論的展望の中で、教会の使命が再び照らし出される。張在亨牧師によれば、教会が「ほかの福音」を伝えたり、律法主義に陥ったりすると、十字架の力が霞み、救いの本質が薄れてしまう危険があると指摘する。異端的教えや間違った律法主義的な強調、文化的排他性などは、最終的に教会を福音の命から遠ざけ、主が本来意図された完全な回復と希望を曇らせてしまうというのだ。

一方で、教会が真の福音をしっかりと守り、信仰によって義とされる喜びと自由を味わうならば、教会はこの地上を一時的な宿としつつも、「約束の地」である天の都を目指す巡礼の共同体としての姿を確立する。その過程で教会は、やがて到来する神の国を先取りして証しする。聖霊による変革された生き方と共同体を通じ、すでに神の国の痕跡が現れ、多くの人々が永遠の命の道、信仰の道、恵みの道を見出すようになる。

終末論的回復を待望する教会は、現在この地上で福音を通じて律法と罪の束縛から自由を享受し、その自由によって奉仕と愛を実践し、神の国の価値を具体化する生き方を目指す。張在亨牧師は、教会が福音の本質に忠実であるとき、この地上の巡礼の旅が一過性のものに終わらず、永遠の約束の地へ向かう信仰の道を最後まで走り抜くことができると強調するのである。

この終末論的希望の中で、約束と律法、アブラハムとキリスト、信仰と義とされること、聖霊と聖化、そして共同体的な一体性と宇宙的回復がすべて結びつく。すべてがキリストにおいて一つとなり、キリストを中心に教会は約束された栄光の結末、すなわち永遠の神の国を仰ぎ見る。その国は律法の遵守や人間の功績によってではなく、ただ恵みと信仰によって入ることができる場所であり、教会はこの真理を世に大胆に告げ知らせる福音の使者となるのである。

結び

張在亨牧師がガラテヤ3章を中心に展開する救済論的解説は、聖書全体を視野に収める幅広い神学的洞察を含んでいる。律法と約束の関係を通じ、神の恵みがどれほど以前から備えられていたか、そしてアブラハム契約によって信仰による義認のパラダイムがすでに定められていたことを明らかに示す。律法は救いの手段ではなく罪を悟らせる役目を担い、救いはただキリストを通じた信仰によって与えられる。こうした信仰のうちで、聖徒は聖霊によって聖化され、自由が与えられ、ユダヤ人と異邦人、男女の区別を超えて一つとなる共同体を築いていく。そしてこの一体性は、宇宙的回復へと続く終末論的希望を映し出す。

結局のところ、張在亨牧師が強調するのは福音の絶対的な重要性と純粋性である。「ほかの福音」の危険から逃れ、イエス・キリストの十字架と復活、そしてそこから与えられる救いの約束を信仰によって受け取ることが、キリスト教信仰の核心であることを繰り返し思い起こさせる。そのような神学的確立は、教会を律法主義的な枷から解放し、自由に神を礼拝し、聖霊に従って愛と仕え合う生き方へと導き、最終的に天を目指す巡礼者としての使命を全うさせるのだ。こうして教会は約束どおりの相続人として神の栄光あるご計画に参与し、この時代に真の福音の光を放つことになるのである。

Recovering the Essence of Salvation through Faith and Grace – Pastor David Jang

Theme 1: The Foundation of Soteriology –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Promise

In his exposition of Galatians 3, Pastor David Jang pinpoints the core of Christian soteriology by focusing on two pillars—“the Law” and “the Promise (Covenant).” In Galatians 3, the Apostle Paul addresses the Gentile believers in the Galatian church, refuting the false teaching that “salvation can be attained by observing the Law.” Instead, Paul underscores that the promise (covenant) given to Abraham predates the Law and that salvation ultimately rests on God’s promise and our faith in that promise.

Pastor David Jang first presents an overarching biblical narrative. The promise that began with Abraham’s calling in Genesis 12 is fully realized in the New Testament through Jesus Christ, showing that the path to being declared righteous by faith was already available in Abraham’s time. Before the Law was given, Abraham believed God (Gen. 15:6), and that faith was counted to him as righteousness. This indicates that long before the Law was instituted, there existed a paradigm for salvation based on “justification by faith.”

The Law, given to Israel through the Sinai Covenant following the Exodus, was never meant to nullify or replace the Abrahamic Covenant (the Promise). According to Pastor David Jang’s interpretation, Paul clarifies the function of the Law by stating it was “added because of transgressions” (Gal. 3:19). In other words, the Law exposes sin for what it is, revealing humanity’s complete helplessness before God. Being “held in custody under the Law” does not signify oppression or loss of freedom; rather, the Law functioned as a “guardian” (Gal. 3:24) until Christ came, protecting humanity in its sinful state while leading people to recognize their guilt before God.

Pastor David Jang does not deny the Law’s significance. Instead, he stresses that it was never intended to be the foundational means of salvation. The Law cannot save; it merely defines sin and helps us realize our inability to attain righteousness on our own. By contrast, the Promise conveys God’s sovereign, unilateral grace. The Abrahamic Covenant existed prior to the Law, and it is ultimately fulfilled in the “one seed,” Christ. It is this promise that opens the way for humanity to be liberated from sin and to draw near to God, while the Law was a tutor meant to guide people until the Promise arrived.

Hence, Pastor David Jang emphasizes that Scripture as a whole testifies to salvation as coming not from “works” but from “faith”—specifically, faith in the Promise. This is the very heart of the gospel. Losing sight of this core leads to legalism, dulling the power of the cross and ultimately subverting the essence of the Christian faith.

Theme 2: The Abrahamic Covenant and Justification through Christ

The Abrahamic Covenant constitutes the origin of salvation. Pastor David Jang highlights the pivotal moment when Abraham, prior to the Law, was pronounced righteous (Gen. 15:6). Even though Abraham was childless at the time, he received God’s promise that his descendants would be as numerous as the stars. When Abraham trusted that promise, God counted his faith as righteousness—fully apart from the Law or any human merit—introducing a fresh paradigm based on faith, promise, and grace. This paradigm gradually develops through Israel’s history and culminates in Jesus Christ.

Pastor David Jang then explains Paul’s argument in Galatians 3, along with Romans and Hebrews. Paul identifies the “offspring” mentioned in the Abrahamic Covenant not as many but as “one” (Gal. 3:16). That singular “seed” is Jesus Christ, through whom the promise extends to all humanity. Thus, the Abrahamic Covenant is not merely a specialized covenant for the Jewish people but God’s overarching plan for redeeming all people from sin.

The heart of the gospel displayed in this “one seed,” Christ, is the righteousness imparted by faith. While the Law could not solve the sin problem, Christ’s atoning work does. Just as Abraham was justified by faith in God’s promise, so also anyone can now be justified by faith in Christ—a reality open to every nation and people group. Salvation is not achieved through circumcision or legalistic acts; it springs solely from the grace made possible by the cross and resurrection of Christ.

Pastor David Jang refers to this as the “way of salvation initiated and completed by grace,” with the Abrahamic Covenant as the starting point or foreshadowing of that journey. Just as Abraham’s covenant was given by grace through a promise, our justification in Christ functions on the same basis. Consequently, the church emerges as the extended family of Abraham, made up of every tribe and tongue, and each believer, now cloaked in Christ’s righteousness, experiences a new identity as a child of God.

Theme 3: Justification by Faith and the Impossibility of Keeping the Law

At the core of faith lies the principle of “justifying sinners,” and the method for achieving justification is faith, not adherence to the Law. Pastor David Jang points out that while the Law establishes many commands—“Do this” and “Do not do that”—it is impossible for human beings to keep them all perfectly. Jesus clarifies this further by extending the domain of the Law to the thoughts and intentions of the heart, explaining that even lustful desire in one’s mind is equivalent to adultery. Therefore, the standard is absolute obedience not just in behavior but also in attitude—a feat no one can accomplish. As a result, the Law forms a massive barrier that humans cannot surmount, and any attempt to gain righteousness through the Law inevitably leads to despair.

Paul illustrates this by saying, “Scripture has locked up everything under the control of sin” (Gal. 3:22), suggesting that the Law essentially imprisons everyone in the cell called “sin,” proving that no one can escape solely by personal effort. This underscores that the Law, in the ultimate sense, is not a means of salvation; rather, it serves to unmask our sinfulness. Here, the gospel of Christ shines brightest. Through faith, we break free from the shackles of sin, liberated from the guilt the Law reveals. This aligns with the Old Testament prophet Habakkuk’s words, “The righteous shall live by his faith” (Hab. 2:4), which Paul frames as a cornerstone of his soteriology.

Pastor David Jang elaborates that genuine faith is more than intellectual agreement or emotional excitement; it is a complete surrender to Jesus Christ, who died for us on the cross. Through this faith, Christ’s righteousness is credited to us, enabling us to stand before God as righteous individuals. Having received justification, believers are no longer under the crushing demands of the Law but are granted the status of God’s children, able to serve Him freely and joyfully.

By clarifying justification by faith, Pastor David Jang dismantles all attempts to secure salvation through Law-keeping. This correction redirects the church to the essence of the gospel, eliminating any reliance on human endeavor or virtuous deeds for salvation. Instead, it paves the way for a life wholly rooted in grace and faith.

Theme 4: Sanctification and Freedom through the Holy Spirit

Justification is not merely a change in legal standing; it inaugurates a transformative process in daily life. At this stage, Pastor David Jang focuses on the role of the Holy Spirit. Building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Promise and the principle of justification by faith, he shows that sanctification through the Holy Spirit forms the natural outworking of true faith. Galatians 5–6 and Romans 8 provide key passages describing how the Holy Spirit guides believers—now justified by faith—into new life.

Because the Holy Spirit dwells within believers, what was humanly impossible under the Law becomes possible. Under the Law, people could not fully extinguish sinful tendencies or uproot deep-seated desires like greed or lust. However, with the Holy Spirit’s indwelling, a profound, heart-level renewal begins. The Holy Spirit inscribes God’s law upon our hearts (Jer. 31:33, Heb. 10:16), serving as the very wellspring of divine power that leads believers to naturally practice righteousness.

Pastor David Jang highlights the “inner freedom” brought about by the Holy Spirit. Believers are no longer driven by external mandates, nor do they do good out of fear of punishment. Instead, they serve God as His children, motivated by love and gratitude. In the Holy Spirit, they discover true freedom, and by that freedom they love, serve, and perform good works. This stands in stark contrast to legalistic observance. Previously, one strove to meet outward requirements; now, the Holy Spirit shapes a believer from within, resulting in joyful, spontaneous obedience to God.

Moreover, sanctification by the Holy Spirit extends beyond individual growth to encompass community and even the cosmic order. Pastor David Jang references Romans 8, which depicts all creation eagerly awaiting the revelation of God’s children. Through the Holy Spirit’s work, believers will ultimately participate in the liberation of creation itself. The fruit of the Spirit (Gal. 5:22–23) exemplifies the process of growing into the likeness of Christ, aligning with God’s larger purpose of restoring the entire creation.

Theme 5: The Theology of Oneness – Breaking Down the Wall Between Jew and Gentile

Anchored in soteriology, pneumatology, and the principle of faith revealed in the Abrahamic Covenant, Pastor David Jang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the church’s unity. At the close of Galatians 3, Paul declares, “There is neither Jew nor Greek, there is neither slave nor free man, there is neither male nor female; for you are all one in Christ Jesus” (Gal. 3:28). This statement goes beyond individual salvation to highlight the unifying and reconciling power of the gospel in the community and ultimately in the cosmos.

Pastor David Jang emphasizes that no discrimination based on ethnicity, social status, or gender is permissible in the church. Legalistic teachers sought to confine salvation by forcing Gentiles to receive circumcision and embrace Jewish culture, but Paul reinterprets the Abrahamic Covenant as fundamentally universal. The Covenant is fulfilled in the “one seed,” Christ, and through Him it expands to every nation. Because of this, Gentiles also become the offspring of Abraham by faith.

This “breaking down the dividing wall” theology resonates with Ephesians 2:14–16, where Paul explains that Christ has dismantled the wall of hostility separating Jew and Gentile. Ethnic exclusivism, cultural barriers, and the boundaries of the Law give way in Christ. The church is the gathering place of diverse peoples united under one faith, one baptism (Eph. 4:5), and one gospel. This oneness is not a mere ideal but requires tangible acts of hospitality, love, and service within the community.

Through this vision of unity, Pastor David Jang shows that the gospel does not simply concern individual souls. It transforms social relationships, driving believers to strive for reconciliation and peace among all people. The gospel transcends geographical, ethnic, and cultural boundaries, turning animosity into forgiveness and harmony. Pastor David Jang holds that this “tearing down of walls” is a cosmic mission of the church, reflecting the ultimate fulfillment of the Abrahamic Covenant. The “promised land” is extended in a spiritual sense to God’s Kingdom, where all the faithful dwell together.

Theme 6: Eschatological Restoration and the Church’s Mission

Finally, Pastor David Jang draws these themes together from an eschatological perspective. The promise that began with Abraham and now justifies believers in Jesus Christ through faith continues in the sanctifying work of the Holy Spirit. Beyond this, the grand restoration of humanity and the universe awaits, linking these doctrines to an eschatological hope. Creation yearns for the revealing of God’s children (Rom. 8:19), and the majestic scene of heavenly worship in Revelation—where the entire cosmos shouts “Holy, holy, holy” (Rev. 4)—presents the ultimate destiny that human effort under the Law could never achieve. This indicates that salvation extends far beyond resolving internal human dilemmas and ushers in a cosmic-scale renewal.

In light of this eschatological hope, the church’s mission is put into focus. Pastor David Jang cautions that whenever the church proclaims a “different gospel” or becomes entangled in legalistic practices, the power of the cross grows faint, and the essence of salvation is undermined. Heretical teachings, extreme legalism, and cultural exclusivity detract from the life-giving core of the gospel and obscure the comprehensive hope and restoration intended by Christ.

However, when the church clings to the true gospel—finding joy and freedom in justification by faith—it stands as a pilgrim community traveling toward the heavenly city while still on earth. Through its journey, the church showcases the Kingdom of God ahead of time. By living in the Spirit and forming Spirit-shaped communities, glimpses of God’s Kingdom appear for the world to see, pointing people toward eternal life, the path of faith, and the way of grace.

A church animated by eschatological hope experiences freedom from the oppressive weight of sin and the Law, and it uses that freedom to serve and love, thereby manifesting the values of God’s Kingdom in the present. Pastor David Jang underscores that remaining faithful to the gospel’s core enables the church to continue steadily on the pilgrimage of faith, never faltering along the way to the promised heavenly homeland.

Within this eschatological vision, every dimension—from the Promise and the Law, to Abraham and Christ, to faith and justification, to the Holy Spirit and sanctification, and finally unity in the community and cosmic renewal—interlocks in Christ. At the center of it all, the church looks forward to the glorious conclusion of God’s plan: His eternal Kingdom. That Kingdom is neither gained by works nor Law-keeping but solely by grace and faith, and the church boldly proclaims this truth to the world.

Conclusion

Pastor David Jang’s soteriological reflections on Galatians 3 encompass wide-ranging theological insights that traverse the entire canon of Scriptur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Promise, he reveals how God’s grace was preordained long ago and how the model of justification by faith was already in place in Abraham’s day. The Law does not serve as a conduit to salvation; it merely uncovers sin, while true salvation is granted solely through faith in Christ. Anchored in this faith, believers are sanctified and liberated by the Holy Spirit, building a community where distinctions such as Jew and Gentile, or male and female, no longer divide. This unity then leads to an eschatological expectation of God’s restoration for the entire creation.

Ultimately, Pastor David Jang accentuates the crucial importance and purity of the gospel. He repeatedly warns against slipping into “another gospel,” urging believers to remember that the bedrock of Christianity is to receive the saving promise of Jesus Christ’s cross and resurrection by faith. This theological clarity frees the church from the chains of legalism, inspiring them to worship God freely, follow the Spirit’s leading in love and service, and continue the pilgrim journey toward heaven. In so doing, the church inherits the promise and participates in God’s glorious plan in this present age, beaming forth the light of the true gospel for all to see.

Recuperación de la esencia de la salvación a través de la fe y la gracia – Pastor David Jang

Tema 1: El fundamento de la soteriología – La relación entre la Ley y la Promesa

Al exponer Gálatas 3, el pastor David Jang ilumina el cimiento de la soteriología cristiana mediante dos pilares: la “Ley” y la “Promesa (Pacto)”. En Gálatas 3, Pablo refuta, dirigiéndose a los creyentes gentiles de Galacia, la falsa doctrina que proclamaba la salvación por la observancia de la Ley. El apóstol subraya que la “Promesa” (Pacto) dada a Abraham precede a la Ley y que, en esencia, la salvación depende de la promesa de Dios y de la fe en ella.

Para abordar este asunto, el pastor David Jang muestra primero la perspectiva general de la Biblia. La promesa que inicia con el llamado de Abraham en Génesis 12 se cumple plenamente en el Nuevo Testamento por medio de Jesucristo. Así se evidencia que la vía para ser justificado mediante dicha promesa existía ya en tiempos de Abraham, quien creyó en Dios 430 años antes de que se diera la Ley (Gn 15:6) y, por esa fe, le fue contada justicia. Mucho antes de la aparición de la Ley, por tanto, el paradigma de la “justificación por la fe” ya estaba en vigor.

La Ley se entregó tras el éxodo, mediante el pacto del Sinaí, pero no con la intención de anular ni modificar el pacto de Abraham. Según explica el pastor David Jang, Pablo recalca en Gálatas 3:19 que la Ley fue “añadida a causa de las transgresiones”, lo que significa que permite identificar el pecado como tal y exhibe cuán incapaz es el hombre ante Dios. La frase “encerrados bajo la Ley” no indica que ésta oprima o prive de libertad, sino que, hasta la venida de Cristo, actuó como “ayo” (Gá 3:24) para proteger a la humanidad pecadora y conducirla a la conciencia de su culpa.

El pastor David Jang no niega la Ley en sí misma, sino que insiste en que jamás fue el medio original de salvación. Carece de poder para salvar; únicamente regula el pecado y muestra que el ser humano no puede alcanzar la justicia por su propio esfuerzo. La Promesa, en cambio, refleja la gracia soberana y unilateral de Dios. El pacto con Abraham precedió a la Ley y se cumple en un único “descendiente”, Cristo. Esa promesa es la base para que la humanidad quede libre del pecado y se acerque a Dios, siendo la Ley el maestro que nos guio hasta que la promesa llegara.

De este modo, el pastor David Jang señala que la Biblia enseña cómo la salvación no proviene de las “obras” sino de la “fe”, es decir, de la fe en la Promesa. Tal es el núcleo del evangelio. Si se pierde de vista esta verdad central, se cae en legalismo, se debilita la gracia de la cruz y, al final, se desvirtúa la esencia de la fe cristiana.

Tema 2: El pacto de Abraham y la justificación a través de Cristo

El pacto de Abraham constituye el punto de partida de la salvación. El pastor David Jang subraya el acontecimiento en que Abraham fue justificado por Dios (Gn 15:6) antes de la Ley. Aun sin hijos, recibió la promesa de que su descendencia sería tan abundante como las estrellas, y al creerla, Dios se lo consideró justicia. Esto no sucedió mediante la Ley ni obras, sino que fue el fruto de la confianza en la promesa. Así nace un “nuevo paradigma” en el que fe, promesa y gracia confluyen, avanzando a través de la historia de Israel y llegando a plenitud en Jesucristo.

El pastor David Jang describe con detalle cómo Pablo articula esta idea en Gálatas 3, Romanos y Hebreos. Pablo interpreta que la “descendencia” del pacto de Abraham no designa a una multitud, sino a una sola persona (Gá 3:16). Ese descendiente es Jesucristo, por cuyo medio la promesa se extiende a todo el género humano. Visto así, el pacto con Abraham no es un tratado reservado a los judíos, sino el plan universal de Dios para redimir a la humanidad.

El núcleo de este evangelio nacido del “descendiente”, Cristo, consiste en la justicia que se alcanza por la fe. El problema del pecado, insoluble para la Ley, se soluciona en Cristo. Así como Abraham fue justificado por confiar en la promesa, ahora toda nación puede ser justificada creyendo en Jesucristo. Esto supera la barrera entre judíos y gentiles, evidenciando que la salvación no parte de la circuncisión o de las obras de la Ley, sino de la gracia que se deriva de la cruz y la resurrección de Cristo.

El pastor David Jang se refiere a esta realidad como “un camino de salvación que empieza en la gracia y culmina en la gracia”, indicando que el pacto de Abraham fue tanto el punto de partida como el anticipo de ese camino. Al igual que la promesa dada a Abraham fue un obsequio de gracia, también nosotros recibimos la justicia en Cristo con los mismos principios. Así, la Iglesia se convierte en una comunidad descendiente de Abraham que abarca a la humanidad entera, y cada creyente, revestido de la justicia de Cristo, adquiere un estatus de hijo de Dios e ingresa en Su familia.

Tema 3: La justificación por la fe y la imposibilidad de cumplir la Ley

El centro de la fe reside en la “justificación del pecador”, y esta se obtiene por fe, no por la observancia de la Ley. El pastor David Jang enfatiza que la Ley, al ordenar “haz esto” o “no hagas aquello”, define el pecado con nitidez, pero el ser humano es incapaz de obedecerla por completo. Lo vemos en las enseñanzas de Jesús, quien extiende la demanda de la Ley al interior, señalando que “cualquiera que mira a una mujer para codiciarla, ya adulteró con ella en su corazón”. Por tanto, no basta un cumplimiento externo, pues se exige la obediencia absoluta del corazón y la mente, algo inalcanzable para las capacidades humanas. Aquí la Ley se erige en un muro insalvable que frustra a quien intenta lograr la justicia a través de ella.

Pablo describe esta situación señalando que “la Escritura encerró todo bajo pecado” (Gá 3:22). Mediante la Ley, todos quedan atrapados en el pecado, sin poder liberarse por sus fuerzas. Así se revela que la Ley no actúa como vía de salvación, sino como manifestación del pecado. Ante esta realidad, brilla el evangelio de Cristo. Por la fe, se rompen las cadenas del pecado y uno queda libre de la culpa que la Ley exhibe. Esto coincide con la palabra del profeta Habacuc: “Mas el justo por su fe vivirá” (Hab 2:4), que Pablo toma como eje de su doctrina sobre la salvación.

El pastor David Jang resalta la naturaleza genuina de la fe. No se limita a la aprobación intelectual o a la emoción, sino que se basa en una confianza total en Jesucristo, quien murió en la cruz por nosotros. Por esta fe, la justicia (δικαιοσύνη) de Cristo nos es imputada, y nos presentamos justos ante Dios. Una vez justificados, ya no hay por qué soportar el peso de la Ley, pues hemos recibido la condición de hijos para servir a Dios con libertad y gozo.

Así, el pastor David Jang expone con claridad el principio de la justificación por la fe y corrige cualquier pretensión de salvación basada en la Ley. Tal corrección conduce a la comunidad cristiana a recobrar la esencia del evangelio y a desechar todo intento de alcanzar la salvación a través de esfuerzos o méritos humanos, inaugurando una vida genuinamente evangélica, sostenida por la gracia y la fe.

Tema 4: La santificación y la libertad por medio del Espíritu Santo

La justificación no sólo cambia el estatus del creyente; también transforma su vida cotidiana. El pastor David Jang pone de relieve el papel del Espíritu Santo en esta dinámica. Luego de comprender la relación entre Ley y Promesa, y el principio de la justificación, se abre paso a la santificación por el Espíritu: el fruto y plenitud de la fe. Gálatas 5-6 y Romanos 8 ilustran cómo el Espíritu Santo guía a los creyentes justificados a una existencia renovada.

El Espíritu Santo mora en el corazón de los creyentes, posibilitando una transformación inalcanzable por la fuerza humana. Bajo la Ley, los hábitos pecaminosos no pueden romperse, ni es factible erradicar pecados ocultos como la codicia o la lujuria. Sin embargo, con la presencia del Espíritu Santo, la transformación surge desde lo profundo. El Espíritu escribe la ley de Dios en la mente (Jer 31:33, Heb 10:16) y se convierte en el manantial de poder que produce, de manera natural, obras buenas y una existencia justa.

El pastor David Jang subraya la “libertad interior” que se experimenta en la santificación por el Espíritu. El creyente ya no está bajo el yugo de la Ley ni hace el bien para eludir castigos; ahora, como hijo de Dios, obedece por amor y gratitud. El Espíritu Santo concede libertad, y con ella, la posibilidad de amar, servir y practicar buenas acciones. Esto difiere esencialmente del enfoque legalista. Antes uno se esforzaba por observar normas externas; ahora, el creyente renovado por el Espíritu obedece de manera gozosa y espontánea.

Además, la santificación por el Espíritu no sólo conlleva un cambio individual, sino que se extiende a la restauración comunitaria y cósmica. El pastor David Jang conecta Romanos 8 con la esperanza universal que anhela “la manifestación de los hijos de Dios”. Por la obra del Espíritu, los creyentes colaboran en la liberación de la creación. El fruto del Espíritu (Gá 5:22-23) describe el proceso de asemejarse a Cristo, formando parte, en última instancia, del proyecto divino de restaurar todo lo creado.

Tema 5: La teología de la unidad – Derribando el muro entre judíos y gentiles

Basándose en la soteriología, la pneumatología y en la fe centrada en el pacto de Abraham, el pastor David Jang recalca la unidad de la Iglesia. Al cierre de Gálatas 3, Pablo declara: “Ya no hay judío ni griego, no hay esclavo ni libre, no hay varón ni mujer; porque todos vosotros sois uno en Cristo Jesús” (Gá 3:28). Este mensaje va más allá de la salvación individual y pone de relieve la fuerza de reconciliación y unidad que el evangelio ofrece a nivel comunitario y cósmico.

El pastor David Jang aprovecha este pasaje para enfatizar que, en la Iglesia, no hay cabida para racismo, barreras sociales ni discriminación de género. Los legalistas exigían a los gentiles la circuncisión y la adopción de la cultura judía, restringiendo su acceso a la salvación. Sin embargo, Pablo reinterpreta el pacto de Abraham como una promesa internacional y universal. Por medio del único “descendiente”, Jesucristo, el pacto se expande a todos los pueblos, permitiendo a los gentiles ser, por fe, herederos de Abraham.

Esta teología de “derribar muros” se vincula con Efesios, donde se menciona el muro de separación que fue demolido (Ef 2:14-16). Las divisiones legales, el nacionalismo excluyente y las brechas culturales se desvanecen ante Cristo. La Iglesia deviene el lugar donde personas de procedencias variadas se unen en una misma fe, un mismo bautismo (Ef 4:5) y un mismo evangelio, constituyendo la familia de Dios. Esa unidad no se queda en la teoría, sino que exige la acogida, el amor y el servicio concreto.

A través de esta visión de unidad, el pastor David Jang muestra que el evangelio no se circunscribe a la salvación del alma individual, sino que renueva las relaciones sociales y persigue la reconciliación y la paz de la humanidad. El evangelio traspasa fronteras geográficas, étnicas y culturales, transformando el odio y la enemistad en reconciliación y perdón. Éste es uno de los ministerios que el pastor David Jang resalta y, en sentido espiritual, el “lugar prometido” del pacto de Abraham se convierte en el Reino de Dios, donde habitan todos los que creen.

Tema 6: La restauración escatológica y la misión de la Iglesia

Por último, el pastor David Jang concluye enmarcando el tema en una perspectiva escatológica. La promesa inaugurada con el pacto de Abraham, que cobra vida en Jesucristo para justificar a los creyentes, y la santificación obrada por el Espíritu, apuntan hacia la restauración de la humanidad y de la totalidad de la creación. Esta esperanza se relaciona con la escatología: la creación entera aguarda la revelación de los hijos de Dios (Ro 8:19), y todo ser alaba y adora a Dios declarando “Santo, Santo, Santo” en la escena gloriosa de Apocalipsis 4, lugar al que la Ley nunca podría llevarnos. Esto implica que la salvación rebasa la cuestión individual del pecado y abarca la restauración universal.

Dentro de este horizonte escatológico, la misión de la Iglesia asume un nuevo realce. El pastor David Jang señala que si la Iglesia se desvía predicando un “evangelio diferente” o cayendo en el legalismo, la cruz pierde su potencia y la esencia de la salvación se desvanece. Las doctrinas heréticas, la insistencia excesiva en el legalismo y el exclusivismo cultural terminan por alejar a la Iglesia del poder vivificante del evangelio, empañando la promesa de restauración que Cristo dejó.

Por el contrario, cuando la Iglesia permanece firme en el verdadero evangelio y vive la alegría y la libertad de la justificación por la fe, se convierte en una comunidad peregrina que transita este mundo como morada temporal, con la vista puesta en la patria celestial. En esa trayectoria, la Iglesia da testimonio anticipado del Reino de Dios que se manifestará en plenitud. A través de vidas e iglesias transformadas por el Espíritu, se insinúan señales del Reino, invitando a la gente a descubrir el camino de la vida eterna, la senda de la fe y el sendero de la gracia.

La Iglesia que aguarda la restauración escatológica saborea ya la libertad del pecado y de la presión de la Ley, y con esa libertad sirve, ama y encarna los valores del Reino de Dios. El pastor David Jang subraya que si la Iglesia permanece fiel a la esencia del evangelio, avanzará con constancia en su peregrinación de fe hasta la Ciudad Celestial, sin caer ni detenerse.

En esta esperanza escatológica se enlazan todos los elementos: la Promesa y la Ley, Abraham y Cristo, la fe y la justificación, el Espíritu y la santificación, además de la unidad de la comunidad y la restauración del universo. Todo converge en Cristo, y la Iglesia, centrada en Él, contempla el glorioso destino prometido: el Reino eterno de Dios. Un Reino al que se accede no por la Ley ni por méritos humanos, sino tan sólo por la gracia y la fe, y cuya proclamación constituye la gran misión de la Iglesia.

Conclusión

La explicación del pastor David Jang sobre la salvación, basada en Gálatas 3, encierra amplias luces teológicas que atraviesan toda la Escritura. Mostrando la relación entre la Ley y la Promesa, expone la antigüedad de la gracia divina y el hecho de que el paradigma de la justificación por la fe ya estaba presente en la época de Abraham. La Ley no salva, sino que revela el pecado, en tanto que la salvación se obtiene únicamente mediante la fe en Cristo. Quienes creen en Él son justificados, reciben el Espíritu y gozan de libertad, formando parte de una comunidad unida que trasciende toda diferencia racial, de género o estatus social. Esta unión, además, presagia la restauración universal que promete la escatología bíblica.

En definitiva, el pastor David Jang hace hincapié en la importancia capital y la pureza del evangelio. Reitera con fuerza la necesidad de alejarnos de cualquier “evangelio diferente” y de aferrarnos a la promesa otorgada por la cruz y la resurrección de Cristo. Esta convicción teológica libera a la Iglesia de los grilletes del legalismo y la impulsa a una adoración plena, a vivir bajo la guía del Espíritu Santo, a amar y a servir, y a emprender el camino de la fe hacia la patria celestial. De esta manera, la Iglesia participa como heredera de la promesa y colabora con el plan glorioso de Dios para el mundo, irradiando hoy la luz del evangelio genuino.

믿음과 은혜를 통한 구원의 본질 회복 – 장재형목사

주제 1: 구원론의 근간 – 율법과 약속의 관계
장재형(장다윗,올리벳대학교)목사는 갈라디아서 3장을 주해하는 과정에서 “율법과 약속(언약)”이라는 두 기둥을 통해 기독교 구원론의 근간을 명확히 짚어낸다. 갈라디아서 3장은 바울이 갈라디아 교회의 이방인 성도들을 향해, 거짓 교사들이 주장하는 “율법 준수로 인한 구원”이라는 그릇된 교리를 반박하며,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약속’(언약)이 율법보다 앞서 있으며 궁극적으로 구원은 하나님의 약속과 그에 대한 믿음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장재형목사는 이 주제를 다루면서 먼저 성경의 큰 흐름을 제시한다. 창세기 12장 아브라함의 부르심에서 시작된 약속은 신약에 이르러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완전히 이루어지며, 이 약속에 의해 의롭다 함을 얻는 길이 이미 아브라함 때부터 열려 있었음을 보여준다. 아브라함은 율법이 주어지기 430년 전에 하나님을 믿었고(창 15:6), 하나님은 이 믿음을 의로 여겨주셨다. 즉, 율법이 등장하기 훨씬 전에 이미 “믿음으로 의롭다 함”이라는 구원의 패러다임이 존재했다는 것이다.

율법은 출애굽 이후 시내산 언약을 통해 주어졌는데, 이는 아브라함 언약(약속)을 무효화하거나 변경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 장재형목사의 설명에 따르면 바울은 율법의 기능을 “범법함을 인하여 더한 것”이라고 갈 3:19에서 밝히는 데 주목한다. 즉 율법은 죄를 죄로 인식하게 하고, 인간의 죄악됨을 적나라하게 드러내어 하나님 앞에서 인간이 얼마나 철저히 무력한지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율법 아래 갇혀 있다는 표현은, 율법이 자유를 빼앗거나 인간을 억압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리스도께서 오시기 전까지 죄인된 인류를 보호하고 죄를 각성하도록 인도하는 “몽학선생”(갈 3:24)으로 기능했음을 의미한다.

장재형목사는 율법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율법이 본래의 구원 수단이 아니었음을 강조한다. 율법은 구원에 이르도록 하는 힘이 전혀 없으며, 그저 죄를 규정하고, 인간이 스스로 의를 이룰 수 없음을 깨닫게 하는 역할만 한다. 반면 약속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주권적이고 일방적인 은혜를 나타낸다. 아브라함 언약은 율법 전 존재했고, 이 약속은 “그리스도”라는 한 분의 씨를 통해 성취된다. 약속은 인류가 죄로부터 자유케 되어 하나님 앞에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열어준 근본적인 틀이며, 율법은 그 약속이 오기까지 우리의 가정교사 역할을 했다.

이로써 장재형목사는 성경 전체가 보여주는 것은 인간 구원이 ‘행위’가 아닌 ‘믿음’, 정확히는 ‘약속에 대한 믿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분명히 하며, 이는 복음의 핵심임을 강조한다. 그는 이 핵심을 놓치면 율법주의에 빠져 십자가의 은혜가 흐려지고, 결국 기독교 신앙의 본질이 훼손된다고 경고한다.

주제 2: 아브라함 언약과 그리스도를 통한 의롭다 함
아브라함 언약은 구원의 기원이 된다. 장재형목사는 아브라함이 율법 이전에 하나님께 의롭다 함을 받는 사건(창 15:6)에 주목한다. 아브라함은 자녀가 없었음에도 하나님께서 하늘의 별처럼 번성케 하리라는 약속을 받았고, 이를 믿었을 때 하나님은 그 믿음을 그의 의로 여기셨다. 이는 율법 준수나 행위로 의롭다 함을 얻는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약속을 신뢰하는 믿음으로 의를 인정받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초였다. 믿음, 약속, 은혜로 이어지는 이 패러다임은 그 이후 이스라엘 역사를 지나 예수 그리스도에게로 완성된다.

장재형목사는 바울이 갈라디아서 3장과 로마서, 히브리서에서 이 점을 어떻게 논증하는지 상세히 풀이한다. 바울은 아브라함 언약에서 말하는 “자손”을 다수가 아닌 ‘한 사람’으로 지목한다(갈 3:16). 그 자손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이며, 그리스도를 통해 이 약속이 온 인류에게 확장된다. 이렇게 볼 때 아브라함 언약은 단지 유대 민족을 위한 특수한 언약이 아니라, 온 인류를 죄에서 구원하고자 하는 하나님의 세계사적 계획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자손” 그리스도를 통해 나타난 복음의 핵심은 바로 믿음으로 얻는 의이다. 율법으로는 불가능했던 죄 문제 해결이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된다. 아브라함이 언약을 통해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은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인정받는 길이 모든 민족에게 열렸다. 이는 유대인과 이방인의 구분을 넘어서며, 할례나 율법적 행위에서 비롯되는 구원이 아니라 오직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을 통한 은혜로 베풀어지는 구원임을 의미한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은혜에서 시작하여 은혜로 완성되는 구원의 길’이라 해석하며, 아브라함 언약은 그 길의 출발점이자 전조임을 보여준다.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언약이 약속으로 주어진 은혜인 것처럼, 우리에게 주어지는 그리스도 안에서의 의 또한 동일한 원리로 작동한다. 이로써 교회는 온 인류를 포괄하는 아브라함의 자손 공동체가 되며, 각 성도는 그리스도의 의를 힘입어 하나님의 가족, 곧 자녀로서의 신분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주제 3: 믿음으로 인한 의롭다 함과 율법 준수의 불가능성
신앙의 핵심은 “죄인의 의롭다 하심”이며, 이 의롭다 함을 이루는 방법은 율법 준수가 아닌 믿음이다. 장재형목사는 율법이 “이것을 하라”, “이것을 하지 말라”는 수많은 규율로 죄를 분명하게 규정하지만, 인간이 그 율법을 완벽히 지킬 수 없음을 강조한다. 이는 예수님의 가르침 속에서도 발견된다. 예수님은 “음욕을 품으면 이미 간음”한 것과 같다고 하시며 율법의 잣대를 마음의 영역으로까지 확장하신다. 따라서 인간은 행위적 준수 정도가 아니라 마음과 생각까지 완전한 순종을 이뤄야 하는데, 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 지점에서 율법은 인간에게 절대 넘을 수 없는 높은 벽이며, 율법을 통해 의를 얻으려는 시도는 결국 좌절로 귀결된다.

바울은 이를 두고 “모든 인간이 죄 아래 가두어졌다”(갈 3:22)고 말한다. 율법은 마치 모든 사람을 죄라는 감옥 안에 두어, 스스로의 힘으로는 절대 탈출할 수 없음을 보이게 한다. 이로써 율법이 참된 의미에서 구원 수단이 아닌, 죄를 드러내는 역할임이 명백해진다. 이때 그리스도의 복음이 빛을 발한다. 믿음으로 죄의 사슬을 끊을 수 있고, 믿음으로 율법이 완전히 드러내는 죄책으로부터 자유하게 된다. 이는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합 2:4)라는 구약 예언자 하박국의 말씀과도 상응하며, 바울이 구원론의 근간으로 삼는 핵심 진리다.

장재형목사는 이 대목에서 믿음의 본질을 강조한다. 믿음은 단순한 지적 동의나 감정이 아니라, 나를 위해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 그리스도를 전적으로 신뢰하고 의지하는 것이다. 이 믿음을 통해 그리스도의 의(義)가 내게 전가되고, 나는 하나님 앞에 의로운 자로 서게 된다. 이때 의롭다 함을 받은 자는 더 이상 율법 아래서 중압감을 느낄 필요가 없다. 그는 아들의 신분을 얻었고, 자유와 기쁨 가운데 하나님을 섬길 수 있다.

이처럼 장재형목사는 믿음으로 인한 의롭다 함의 원리를 분명히 하여 율법 준수로 구원받으려는 모든 시도를 교정한다. 이런 교정은 교회 공동체가 복음의 본질을 회복하고, 인간적 노력이나 선행으로 구원을 이뤄내려는 시도를 포기하게 함으로써 오직 은혜와 믿음에 근거한 참된 복음적 삶을 실천하도록 이끈다.

주제 4: 성령을 통한 성화와 자유
의롭다 함을 얻은 성도는 단지 신분만 변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삶에서도 변화가 일어난다. 장재형목사는 여기서 성령의 역할을 강조한다. 율법과 약속의 관계, 의롭다 함의 원리에 이어, 성령을 통한 성화의 과정은 신앙의 결실이자 열매다. 갈라디아서 5~6장, 로마서 8장은 성령이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받은 성도들에게 새로운 삶의 길을 보여주는 핵심 본문이다.

성령은 신자의 마음에 내주하심으로써 인간의 힘으로는 불가능한 변화를 가능케 한다. 율법 아래서는 죄의 습관을 끊을 수 없었고, 탐심과 음욕과 같은 내면적 죄를 제거할 수 없었지만, 성령의 내주하심으로 마음 깊은 곳에서부터 변화가 시작된다. 성령은 하나님의 법을 우리 마음판에 새기시고(렘 31:33, 히 10:16), 선한 행실, 곧 의로운 삶을 자연스럽게 흘러나오게 하는 능력의 원천이 된다.

장재형목사는 성화의 과정에서 성령을 통한 ‘내적 자유’를 강조한다. 이제 성도는 더 이상 율법의 강제에 눌리지 않고, 벌 받지 않으려 억지로 선을 행하는 자가 아니다. 그는 아들로서, 자유한 하나님의 자녀로서, 사랑과 감사의 동기로 하나님께 순종한다. 성령 안에서 사람은 자유케 되고, 그 자유로 사랑하며 섬기며 선행을 하게 된다. 이것이 율법주의적 접근과 본질적으로 다른 점이다. 이전에는 외적 규율을 지키려 애썼다면, 이제는 성령에 의해 내면이 변혁되어 자발적으로 하나님께 기쁘게 순종하는 삶을 살게 된다.

또한 성령을 통한 성화는 개인적인 변화에 그치지 않고, 공동체와 우주적 차원의 회복과 연결된다. 장재형목사는 로마서 8장과 함께, 만물이 하나님의 아들들의 나타남을 고대한다는 우주적 회복을 언급한다. 성령의 사역을 통해 성도들은 결국 피조물의 해방에 동참하게 된다. 성령의 열매(갈 5:22-23)는 그리스도의 형상을 닮아가는 과정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모든 창조 질서를 회복시키는 하나님의 계획에 참여하는 길이 된다.

주제 5: 하나됨의 신학 – 유대인과 이방인의 담 허물기
구원론과 성령론, 그리고 아브라함 언약을 통한 믿음의 원리에 기초하여, 장재형목사는 교회 공동체의 하나됨에 주목한다. 갈라디아서 3장 말미에서 바울은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자나 남자나 여자나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라고 선언한다(갈 3:28). 이것은 단지 개인의 구원 문제를 넘어, 공동체적이고 우주적 차원에서 복음이 가져다주는 통합과 화해의 힘을 보여주는 핵심 진술이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통해 교회 안에서 더 이상 인종적, 사회적, 성별 차별이 용납되지 않는다는 진리를 강조한다. 율법주의자들은 이방인들에게 할례를 강요하고, 유대 문화를 강제함으로써 구원의 길을 좁히려 했지만, 바울은 아브라함 언약이 본질적으로 국제적, 범인류적 성격을 지닌 약속임을 재해석했다. 아브라함의 언약은 “한 자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온 세상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로 말미암아 이방인도 믿음으로 아브라함의 자손이 되는 은혜를 누리게 되었다.

이 “담을 허무는” 신학은 에베소서의 막힌 담 헐기(엡 2:14-16)와도 맞닿아 있다. 율법적 경계, 민족적 배타성, 문화적 장벽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허물어진다. 교회는 다양한 배경을 지닌 이들이 하나의 믿음, 하나의 세례(엡 4:5), 하나의 복음 아래 모여 하나님의 가족을 이루는 곳이다. 그리고 이 하나됨은 단지 선언이 아니라, 실제적으로 서로를 환대하고 사랑하며 섬기는 공동체적 실천을 요구한다.

장재형목사는 이 하나됨의 비전을 통해 복음이 단순히 개인 영혼의 구원에 머무르지 않고, 사회적 관계를 변화시키며, 인류의 화해와 평화를 추구하는 동력이 됨을 보여준다. 복음은 지리적, 민족적, 문화적 경계를 넘나들며, 갈등과 증오를 화해와 용서로 바꾸는 능력을 지닌다. 이것이 바로 장재형목사가 강조하는 교회의 우주적 사명 가운데 하나이며, 아브라함 언약이 궁극적으로 실현하는 ‘약속의 땅’은 영적인 의미에서 모든 믿는 이가 함께 거하는 하나님 나라로 확장된다.

주제 6: 종말론적 회복과 교회의 사명
마지막으로 장재형목사는 모든 논의를 종말론적 전망으로 이끈다. 아브라함 언약에서 시작된 약속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믿는 자들에게 의롭다 함을 주었고, 성령의 내주하심으로 성도들은 성화의 길을 걷는다. 동시에 온 인류와 우주적 차원의 회복이 기다리고 있는데, 이는 종말론적 희망과 연결된다. 만물이 하나님의 자녀들의 나타남을 고대하고(롬 8:19), 피조물 전체가 하나님을 찬양하며 “거룩하다, 거룩하다” 외치는 계시록의 영광스러운 예배 장면(계 4장)은 율법으로는 도달 불가능했던 궁극적 목적지이다. 이것은 구원이 단지 인간 개인의 내면적 문제 해결로 끝나지 않고, 전 우주적 스케일의 회복까지 포괄함을 의미한다.

이 종말론적 전망 속에서 교회의 사명이 재조명된다. 장재형목사는 교회가 “다른 복음”을 전하거나 율법주의에 매몰될 때, 십자가의 능력이 흐려지고 구원의 본질이 약화되는 위험을 지적한다. 이단적 가르침, 잘못된 율법주의적 강조, 문화적 배타성은 결국 교회를 복음의 생명력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주님이 의도하신 온전한 회복과 희망을 흐리게 만든다.

반면 교회가 참된 복음을 붙들고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받은 기쁨과 자유를 누린다면, 교회는 이 땅을 일시적 거처로 삼으며 약속의 땅인 천성을 향해 나아가는 순례 공동체로 자리매김한다. 이 과정에서 교회는 장차 올 하나님의 나라를 미리 앞당겨 증언한다. 성령 안에서 변화된 삶과 공동체를 통해 이미 하나님 나라의 흔적이 나타나며, 이는 사람들로 하여금 영생의 길, 믿음의 길, 은혜의 길을 발견하게 한다.

종말론적 회복을 대망하는 교회는, 현재 이 땅에서 복음을 통해 율법과 죄의 억압으로부터 자유를 누리고, 그 자유로 봉사하며 섬기고, 서로를 사랑함으로 하나님 나라의 가치들을 실현하는 삶을 지향한다. 장재형목사는 이처럼 교회가 복음의 본질에 충실할 때, 천성을 향한 순례길에서 한순간에 그치지 않고, 영원한 약속의 땅으로 향하는 믿음의 여정을 신실히 완주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 종말론적 희망 속에서, 약속과 율법, 아브라함과 그리스도, 믿음과 의롭다 함, 성령과 성화, 그리고 공동체적 하나됨과 우주적 회복까지 모두 연결된다. 모든 것이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가 되고,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교회는 약속받은 영광된 결말, 즉 영원한 하나님 나라를 바라본다. 그 나라는 율법 준수나 인간적 공로가 아닌, 오직 은혜와 믿음으로 들어가는 곳이며, 교회는 이 진리를 세상에 담대히 전하는 복음의 전달자가 된다.

맺음말

장재형목사가 갈라디아서 3장을 중심으로 전개한 구원론적 해설은 성경 전체를 아우르는 폭넓은 신학적 통찰을 담고 있다. 율법과 약속의 관계를 통해 하나님의 은혜가 얼마나 오래전부터 준비되었는지, 아브라함 언약을 통해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얻는 패러다임이 이미 정해져 있었음을 보여준다. 율법은 구원의 방편이 아닌 죄를 깨닫게 하는 역할이며, 구원은 오직 그리스도를 통한 믿음으로 주어진다. 이 믿음 안에서 성도는 성령을 통해 성화되고 자유케 되며, 유대인과 이방인, 남자와 여자의 구분을 넘어 하나 됨의 공동체를 형성한다. 나아가 이 하나됨은 온 우주적 회복을 향한 종말론적 희망을 비춘다.

결국 장재형목사가 강조하는 것은 복음의 절대적 중요성과 순수성이다. “다른 복음”의 위험에서 벗어나,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 그리고 그를 통해 주어진 구원 약속을 믿음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기독교 신앙의 핵심임을 거듭 상기시킨다. 이러한 신학적 정립은 교회로 하여금 율법주의적 굴레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하나님을 예배하고, 성령의 인도에 따라 사랑과 섬김의 삶을 살며, 궁극적으로 천성을 향해 나아가는 순례자로서의 사명을 감당하게 한다. 이로써 교회는 약속대로 유업을 이을 자들로서 하나님의 영광된 계획에 동참하며, 이 시대 가운데 진정한 복음의 빛을 비추게 될 것이다.

죽음과 부활 – 눅24장 엠마오의 두 제자를 중심으로(장재형 목사)

부활 누가복음24장 크리스천투데이

부활은 언제 있게 되는가? 예수님의 부활과 우리의 부활이 같은 건가? 다른건가? 부활과 하나님의 나라. 장재형 목사의 누가복음 24장 강해를 들으며 깊이 묵상할 수 있었다.

성경에 마지막 날, 마지막 때라는 것은 하나님의 나라가 시작되는 것을 말 하기도 한다. 이때우리 주님께서 영광 가운데 우리 가운데 나타나신다고 되어 있는데 알곡과 가라지를 나누는 심판이 있게 된다. 그러면 이미 잠들어 있는 자들은 다시 살아 나야 한다. 이게 부활이다. 죽은 자의 부활과 산자의 부활이 있는 거다. 죽은 자의 부활이라는 것은 다른 말로 표현하면 잠든자의 부활이다. 잠든 자들이 다시 깨어 나야 한다. 그리고 예수님은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않을 것이라고 하셨는데 산자들 또한 새로운 몸을 입고 부활하게 된다.

이때 일어나는 것이 무엇인가? 심판이다. 잠든 자들을 깨우신다. 악한 자들도 깨어 나야 하고 주님을 믿었지만 생명이 다해 잠들어 있는 자들 또한 깨어 나야 한다. 천국 나팔 소리가 이들을 깨우는 거다.

우리는 흔히 죽으면 바로 천국과 지옥으로 나뉘어 질거라고 생각하지만 이는 성경적인 것은아니다. 그래서 성경에는 잠이 들었다고 표현하는 거다. 죽은게 아니다. 잠이 드는 것이다.

요11장에 나사로를 살리셨는데 이것을 보고 가야바인 대제사장이 예수를 죽이자고 한다. 이때 부터 예수를 죽이기로 생각했다는 거다. 사람을 살리는 능력을 보자 이들이 놀라 죽이려하고 한다. 다 믿을거니까 죽이자

11:53 이 날부터는 저희가 예수를 죽이려고 모의하니라

요한복음 11장

11:1 어떤 병든 자가 있으니 이는 마리아와 그 형제 마르다의 촌 베다니에 사는 나사로라

11:2 이 마리아는 향유를 주께 붓고 머리털로 주의 발을 씻기던 자요 병든 나사로는 그의 오라비러라

이게 복음이다. 최후의 만찬에서는 이러한 여인의 행위를 제자들이 보고 시험에 들었다. 하지만 예수님께서는 복음이 전해지는 곳에는 다 이 여인의 행위가 전해질거라고 했다. 그렇다면 이 여인은 복음을 안자다. 그런데 문제가 무엇인가?

11:3 이에 그 누이들이 예수께 사람을 보내어 가로되 주여 보시옵소서 사랑하시는 자가 병들었나이다 하니

11:4 예수께서 들으시고 가라사대 이 병은 죽을 병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을 위함이요 하나님의 아들로 이를 인하여 영광을 얻게 하려 함이라 하시더라

나사로가 아프다는 거다. 죽을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것이라는 거다. 이 예수님의 놀라운 믿음을 보자.

11:5 예수께서 본래 마르다와 그 동생과 나사로를 사랑하시더니

예수님께서는 이들을 다 사랑하셨다. 복음을 드러낸 자, 복음을 안자들을 이렇게 주님은 사랑하신다. 사랑하시는 이가 어찌 되었는가?

11:6 나사로가 병들었다 함을 들으시고 그 계시던 곳에 이틀을 더 유하시고

병이 들었다. 하지만 예수님께서는 사랑하는 이가 병들어 죽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으셨지만 계시던 곳에 이틀을 더 유하셨다.

11:7 그 후에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유대로 다시 가자 하시니

이틀이 지난 후에 예수님께서는 유대로 가신다. 드디어 나사로에게 가시는 거다.

11:8 제자들이 말하되 랍비여 방금도 유대인들이 돌로 치려 하였는데 또 그리로 가시려 하나이까

아..유대인들일 방금도 돌로 치려 했다는 거다. 이게 뭔가? 우리는 최후의 만찬 후 안나스와 가야바 그리고 빌라도의 법정에 대해서 보자. 그러면 안다. 유대인들은 사사로이 죽일 수 있었다. 돌로쳐서 사람을 죽일 수 있었다. 대표적으로 스데반이 그렇게 순교를 당했다.

제자들이 유대로 자고 하시니 놀라서 묻는다. “방금도 유대인들이 돌로쳐 죽이려고 했는데 다시 가십니까?’

11:9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낮이 열두 시가 아니냐 사람이 낮에 다니면 이 세상의 빛을 보므로 실족하지 아니하고

11:10 밤에 다니면 빛이 그 사람 안에 없는 고로 실족하느니라

정말 애매 모호한 말씀을 하시지만 또 명확하게 하신다. 그렇다. 진리 가운데 거하면 실족하지 아니한다. 진리가 우리의 가는 길을 밝힐 뿐 아니라 주의 말씀은 내 발의 등이라고 했다.

11:11 이 말씀을 하신 후에 또 가라사대 우리 친구 나사로가 잠들었도다 그러나 내가 깨우러 가노라

나사라고 이때 죽었다. 하지만, 예수님께서는 뭐라고 하시는가?

“우리 친구 나사로가 잠들었으니 내가 깨우러 가겠다’라고 하신다. 놀라운 말씀이다. 정말 놀랍다. 여기에 우리의 부활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도 계시지만 예수님이 가지신 능력이 무엇인가? 잠든 자를 깨우시는 능력이 우리 예수님 안에 있다. 아멘 할렐루야

11:12 제자들이 가로되 주여 잠들었으면 낫겠나이다 하더라

11:13 예수는 그의 죽음을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나 저희는 잠들어 쉬는 것을 가리켜 말씀하심인 줄 생각하는지라

그런데 제자들은 예수님이 나사로가 잠들었으니 깨우러 가겠다는 것을 정말로 그가 잠이 들어 쉬고 있으니 예수님이 깨우러 간다고 생각했다는 거다. 제자들이 부활에 대해서 잘 몰랐다. 어쩌면 예수님의 말씀을 이들이 더 이해하기 어려웠는지도 모른다.

11:14 이에 예수께서 밝히 이르시되 나사로가 죽었느니라

이때 제자들이 잘 알아 듣지 못하자 예수님이 말씀하신다.

“나사로가 죽었다”

제자들의 당황하던 모습을 생각해보자. 죽었는데 어떻게 살리지? 예수님이 죽은 자도 살리실 수 있는가? 너무나 놀랐을 것 같다.

11:15 내가 거기 있지 아니한 것을 너희를 위하여 기뻐하노니 이는 너희로 믿게 하려 함이라 그러나 그에게로 가자 하신대

11:16 디두모라 하는 도마가 다른 제자들에게 말하되 우리도 주와 함께 죽으러 가자 하니라

도마의 “우리도 주와 함게 죽으러 가자” 이 말이 무엇인가? 유대인들이 또 돌로쳐 예수님을 죽이려고 할것이고 죽으실 수도 있다는 거다. 제자들은 늘 이렇게 위험에 노출 되어 있었다. 그들이 예수를 따른다는 것은 그저 평안함 속에서 살아가는 신앙이 아니라 늘 살해의 위협에 처해 있었다. 도마의 이 말은 베드로의 말이 생각나게 한다. 내가 죽어도 주와 함께 죽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드러냈다. 인간이 할 수 있는 최고의 용기 아닌가?

11:17 예수께서 와서 보시니 나사로가 무덤에 있은 지 이미 나흘이라

하루 길이셨나보다. 이틀을 더 계시고 하루 만에 나사로에게 왔는데 이미 그는 무덤에 잠들어 있었다.

11:18 베다니는 예루살렘에서 가깝기가 한 오 리쯤 되매

11:19 많은 유대인이 마르다와 마리아에게 그 오라비의 일로 위문하러 왔더니

오리는 우리 나라로 치면 약 2킬로 정도 되는 거리이니 동네 사람들이 마르다와 마리아를 위로 하러 왔던 거다. 왜 위로를 하는가? 나사로가 죽었기 때문에 장례를 치룬 것이다.

11:20 마르다는 예수 오신다는 말을 듣고 나가 맞되 마리아는 집에 앉았더라

마르다는 예수가 늦게라도 오신다는 소식을 듣고 예수님께 가는 데 향유 옥합을 부은 마리아는 집에 앉아 슬픔 가운데 있다. 이게 현실적인 우리의 모습이다. 마리아의 모습이 우리의 모습일지 모른다.

11:21 마르다가 예수께 여짜오되 주께서 여기 계셨더면 내 오라비가 죽지 아니하였겠나이다

슬픔에 젖어 있기는 마르다도 마찬 가지다. 주님의 발 아래 앉아서 말씀을 들었던 마리아는 이렇게 슬픔에 젖어 있고 밥을 차리던 마르다는 주님께 가서 슬픈을 토해 낸다.

“예수님이 여기 계셨면 오빠를 치료 해주셨을 텐데…” 이 마르다의 믿음도 놀랍다. 예수님 안에 능력이 있다는 고백 아닌가? 그 능력이 무슨 능력인가? 병든자를 치유할 수 있는 치유의 능력이다.

11:22 그러나 나는 이제라도 주께서 무엇이든지 하나님께 구하시는 것을 하나님이 주실 줄을 아나이다

말씀을 들었던 마리아가 이 이야기를 한게 아니다. 밥을 준비하고 섬겼던 마르다의 고백이다. 이게 사도행전에 나온 스데반과 같을지 모른다. 마르다가 이런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나사로가 죽었지만 예수님게서는 무엇이든지 하나님께 구하는 것을 하나님이 주실 거라는 거다. 하나님의 아들이다라는 고백이다. 당신이 그리스도입니다라는 고백이다. 당신이 구주이며 그 능력은 죽은 자도 살리실수 있지않냐는 것이다.

11:23 예수께서 가라사대 네 오라비가 다시 살리라

“나사로가 다시 살리라”

11:24 마르다가 가로되 마지막 날 부활에는 다시 살 줄을 내가 아나이다

“네 주님, 마지막 날 부활에 다시 살 것입니다”

11:25 예수께서 가라사대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11:26 무릇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니 이것을 네가 믿느냐

이 질문을 누구에게 한 것인가? 마르다다. 마르다에게 예수님이 이 놀라운 질문을 하신다. 마리아가 아니다. 마르다다. 나사로의 죽음을 슬퍼하지만 주님을 만나러온 마르다에게 주님께서 하신 말씀이다. 이 마르다가 없었다면, 죽은 나사로가 없었다면 이 기록이 있었겠는가? 없었을 거다.

11:27 가로되 주여 그러하외다 주는 그리스도시요 세상에 오시는 하나님의 아들이신 줄 내가 믿나이다

눈물이 나는 마르다의 고백이다. 주님 그렇습니다. 이게 베드로의 고백과 다를게 없다 성경에는 마르다의 고백, 베드로의 고백 그리고 도마의 고백이 있다. 이 세 가지 고백이 다 성령께서 그리 하신거다.

11:28 이 말을 하고 돌아가서 가만히 그 형제 마리아를 불러 말하되 선생님이 오셔서 너를 부르신다 하니

예수님게께서는 마리아를 부르셨다. 슬픔에 빠진 마리아, 슬픔 가운데 넋을 잃은 마리아를 부르신다.

“예수님이 널 찾으셔”

11:29 마리아가 이 말을 듣고 급히 일어나 예수께 나아가매

11:30 예수는 아직 마을로 들어오지 아니하시고 마르다의 맞던 곳에 그저 계시더라

왜 예수님은 안 들어가셨을까? 마을로 들어오지 아니하시고 마르다를 맞이하던 그 자리에 그저 계셨을까? 요한 사도가 이것을 기록한 이유가 무엇일까?

11:31 마리아와 함께 집에 있어 위로하던 유대인들은 그의 급히 일어나 나가는 것을 보고 곡하러 무덤에 가는 줄로 생각하고 따라가더니

11:32 마리아가 예수 계신 곳에 와서 보이고 그 발 앞에 엎드리어 가로되 주께서 여기 계셨더면 내 오라비가 죽지 아니하였겠나이다 하더라

마리아의 이 고백도 놀랍다. 마르다와 간다. 마르다와 마리아 이 두 여인, 이 시대에는 여인이 천대 받던 시대인데 이 두여인의 사랑을 보라. 주를 향한 사랑과 믿음이 이들 안에 있다.

11:33 예수께서 그의 우는 것과 또 함께 온 유대인들의 우는 것을 보시고 심령에 통분히 여기시고 민망히 여기사

우리의 믿음은 어떠한가? 십자가의 생명만 있는게 아니라 우리에게는 부활의 믿음이 있다. 나사로의 부활은 우리가 마지막 날에 경험할 부활은 분명 아니다. 왜냐? 나사로는 다시 죽었기 때문이다. 예수님 안에 있는 능력이 무엇인가?

11:34 가라사대 그를 어디 두었느냐 가로되 주여 와서 보옵소서 하니

11:35 예수께서 눈물을 흘리시더라

11:36 이에 유대인들이 말하되 보라 그를 어떻게 사랑하였는가 하며

11:37 그 중 어떤 이는 말하되 소경의 눈을 뜨게 한 이 사람이 그 사람은 죽지 않게 할 수 없었더냐 하더라

11:38 이에 예수께서 다시 속으로 통분히 여기시며 무덤에 가시니 무덤이 굴이라 돌로 막았거늘

11:39 예수께서 가라사대 돌을 옮겨 놓으라 하시니 그 죽은 자의 누이 마르다가 가로되 주여 죽은 지가 나흘이 되었으매 벌써 냄새가 나나이다

11:40 예수께서 가라사대 내 말이 네가 믿으면 하나님의 영광을 보리라 하지 아니하였느냐 하신대

11:41 돌을 옮겨 놓으니 예수께서 눈을 들어 우러러 보시고 가라사대 아버지여 내 말을 들으신 것을 감사하나이다

11:42 항상 내 말을 들으시는 줄을 내가 알았나이다 그러나 이 말씀 하옵는 것은 둘러선 무리를 위함이니 곧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을 저희로 믿게 하려 함이니이다

11:43 이 말씀을 하시고 큰 소리로 나사로야 나오라 부르시니

11:44 죽은 자가 수족을 베로 동인 채로 나오는데 그 얼굴은 수건에 싸였더라 예수께서 가라사대 풀어 놓아 다니게 하라 하시니라

12:9 유대인의 큰 무리가 예수께서 여기 계신 줄을 알고 오니 이는 예수만 위함이 아니요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나사로도 보려함이러라

12:10 대제사장들이 나사로까지 죽이려고 모의하니

12:11 나사로 까닭에 많은 유대인이 가서 예수를 믿음이러라

부활한 나사로 때문에 많은 이들이 예수를 믿었다고 되어 있다. 죽고 다시 살아난 능력을 예수님이 가지고 계셔서일까? 그럴 수 있다

그런데 그 부활의 능력을 가지신 분이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셨다. 엠마오의 두 제자는 그 이후에 일어난 사건이다.

장재형 목사가 부활 이후에 늘 설교하는 본문은 누가복음에 나오는 엠마오의 두 제자에 대한 것이다. 그리스도인이라면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유명한 구절이기도 하고 또 그림 작품도 있다. 이들의 이름은 글로바와 마리아이다.

누가복음 24장 13절부터

24:13 그 날에 저희 중 둘이 예루살렘에서 이십오 리 되는 엠마오라 하는 촌으로 가면서

24:14 이 모든 된 일을 서로 이야기하더라

24:15 저희가 서로 이야기하며 문의할 때에 예수께서 가까이 이르러 저희와 동행하시나

24:16 저희의 눈이 가리워져서 그인 줄 알아보지 못하거늘

24:17 예수께서 이르시되 너희가 길 가면서 서로 주고 받고 하는 이야기가 무엇이냐 하시니 두 사람이 슬픈 빛을 띠고 머물러 서더라

24:18 그 한 사람인 글로바라 하는 자가 대답하여 가로되 당신이 예루살렘에 우거하면서 근일 거기서 된 일을 홀로 알지 못하느뇨

24:19 가라사대 무슨 일이뇨 가로되 나사렛 예수의 일이니 그는 하나님과 모든 백성 앞에서 말과 일에 능하신 선지자여늘

24:20 우리 대제사장들과 관원들이 사형 판결에 넘겨 주어 십자가에 못 박았느니라

24:21 우리는 이 사람이 이스라엘을 구속할 자라고 바랐노라 이뿐 아니라 이 일이 된 지가 사흘째요

24:22 또한 우리 중에 어떤 여자들이 우리로 놀라게 하였으니 이는 저희가 새벽에 무덤에 갔다가

24:23 그의 시체는 보지 못하고 와서 그가 살으셨다 하는 천사들의 나타남을 보았다 함이라

24:24 또 우리와 함께한 자 중에 두어 사람이 무덤에 가 과연 여자들의 말한 바와 같음을 보았으나 예수는 보지 못하였느니라 하거늘

24:25 가라사대 미련하고 선지자들의 말한 모든 것을 마음에 더디 믿는 자들이여

24:26 그리스도가 이런 고난을 받고 자기의 영광에 들어가야 할 것이 아니냐 하시고

24:27 이에 모세와 및 모든 선지자의 글로 시작하여 모든 성경에 쓴 바 자기에 관한 것을 자세히 설명하시니라

24:28 저희의 가는 촌에 가까이 가매 예수는 더 가려 하는 것 같이 하시니

24:29 저희가 강권하여 가로되 우리와 함께 유하사이다 때가 저물어 가고 날이 이미 기울었나이다 하니 이에 저희와 함께 유하러 들어가시니라

24:30 저희와 함께 음식 잡수실 때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매

24:31 저희 눈이 밝아져 그인 줄 알아보더니 예수는 저희에게 보이지 아니하시는지라

24:32 저희가 서로 말하되 길에서 우리에게 말씀하시고 우리에게 성경을 풀어 주실 때에 우리 속에서 마음이 뜨겁지 아니하더냐 하고

바울 사도는 고린도전서 15장에 부활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했다. 그리고 예수님도 부활에 대해서 자주 이야기 하셨는데 부활이라는 건 좀 어렵다. 사순절 기간 십자가에 대해서 깊이 묵상하고 나서 부활에 대해서 묵상해야 하는 중이다. 그 부활에 대해서 묵상하기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건 바로 엠마오의 두 제자이다. 이들은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으셨다는 것은 잘 알고 있다. 그리고 그분이 어떤 삶을 사셨는지도 누구 보다 더 잘알았다. 왜냐? 그들은 제자들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수가 잡히셨던 날이던지 죽으셨던 때인지는 모르지만 이들은 예수를 떠났고 다시 그들의 고향 엠마오로 돌아가는 길이었다. 누구다 아는 그 그림의 두 주인공이다.

며칠 전 누군가 나에게 부활에 대해서 물었다. 부활이 무엇인가? 그건 죽고 다시 사는 거다. 십자가가 전제가 되어야 부활이고 십자가만 있는 것은 바울 사도의 말 처럼 우리의 믿음이 헛것인거다. 죽어버리고 나서 부활이 없다면 우리가 믿어야 할 이유가 없다. 다른 종교와 다를 바 없는 건데 기독교는 특별히 부활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이게 다른 종교와 분명하게 다른 것이다.

부활은 너무나 중요하다.

우리는 누구인가? 타락한 아담의 자손이지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된 피조물들이다. 새롭게 되긴 했는데 이전의 악한 습관이 여전히 우리 안에 있다. 이미와 아직 사이에 우리의 신앙이 늘 놓여지게 된다. 이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엠마오로 돌아가던 두 제자의 모습 처럼, 미래의 원대한 꿈이 있었지만 그 꿈을 잃어버리고 다시 집으로 돌아가 예전과 같은 삶을 살아야 하는가? 아니면 이 팬의 목소리를 기억해야 하는가?

예수님께서는 엠마오로 가는 두 제자를 이렇게 깨우신다.

“나의 죽음이 죽음이 아니라 너희의 생명을 살리기 위한 희생이었다고. 대속이었다. 그래서 그 죽음은 헛된게 아니라 너희에게 생명이 되었다”

예수님께서 율법과 예언에 대해서 가르쳤다고 하셨는데 장재형목사는 이 율법은 레위기 16장이고 예언서는 이사야서 53장이라고 이야기 한다. 레위기 16장의 속죄양과 이사야서 53장의 고난의 주에 대한 이야기를 예수님은 부활 이후에 두 제자에게 이야기 하신 것이라고 장재형목사는 늘 이야기 했다.

누가복음 24장

24:32 저희가 서로 말하되 길에서 우리에게 말씀하시고 우리에게 성경을 풀어 주실 때에 우리 속에서 마음이 뜨겁지 아니하더냐 하고

“마음이 뜨겁지 아니하더냐”

차갑게 식어버린 두 제자의 마음이 뜨거워졌다. 가슴이 뜨거워져서 다시 사도들이 있던 곳으로 돌아갔다. 지금 교회는 부할을 맛 보고 오순절을 향해서 가고 있는 절기에 놓여져 있다. 그런데 부활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는 십자가 즉 레위기 16장과 이야서 53장의 대속과 고난에 대해서 잘 알아야 한다. 그 대속과 고난이 그것으로 끝이 아니라 빵이 찢어지고 나서 내가 그걸 먹으면 생명이 된다. 예수님의 죽음이 우리에게 생명이 되는 거다.

물론 부활이라는 건 마지막 심판의 날에 주님께서 오셔서 잠든 모든 이를 나팔로 깨우신다. 그래서 알곡과 가라지를 나누시는 심판을 받게 된다. 그래서 바울 사도 또한 5백명의 제자들 가운데 일시에 나타나신 예수님을 본 자들 중에 잠든 자도 있다고 이야기 하는 것이다. 그들은 죽은게 아니라 잠들어 있는거다. 어쩌면 우리에게 정말 죽음은 심판 이후에 있는 건지도 모른다. 우리의 생명이 다 해서 죽는 것이 아니라 우리는 그저 마지막 날을 고대하면서 고이 잠드는거다. 이때도 중요하다.

하지만 또 중요한게 있다. 우리가 그리스도의 제자로 살아가면서 매일 매일 겪는 절망과 고난 속에 우리가 리옹의 유니폼을 입었던 이 선수들 처럼 우리를 잠에서 깨어나게 하는게 무엇인가? 그것은 우리를 날 마다 새롭게 하시는 성령의 능력을 우리가 덧입는 것 밖에 없다.

바울 사도는 날마다 죽고 다시 산다고 했다. 우리에게는 죽어야 할게 있고 죽지 말아야 할게 있다. 죽지 말아야 할 것을 죽이게 되면 죽여야 할게 우리를 죽게 만든다. 리옹 선수를 봐라. 저들의 능력이 새롭게 되는 건 그들이 무엇을 덧입고 있느냐? 그들이 입은 유니폼이 무엇인가? 역사와 전통을 깨닫고 나서 그것을 훼손할 자격이 우리에게 없다라는 것을 알게 되었던거다.

우리의 주인이 누구인가? 나인가? 아니다. 나의 주인이 나 인것 처럼 살아가는 건 자신을 속이는 거다. 속이는게 얼마나 무서운건가? 신지애라는 골프 선수가 있다. 아버지가 목회자라고 한다. 이분을 잘 아는 한 신학대학교 교수님은 골프를 정말 좋아하셔서 나와 종종 라운딩을 함께 하는 데 자주 신지애 선수와 아버지에 대해서 이야기 하신다.

그런데 신지애선수의 우승 횟수가 얼마나 많은지 아는가? 2023년 8월 현재 KLPGA 통산 21승(아마추어 1승 포함), LPGA 통산 11승, JLPGA 통산 28승, 기타 투어 5승 등 전 세계 투어 통산 65승(프로 통산 64승)을 기록 중이다. 골프 선수가 한번도 우승을 못하고 은퇴하는 경우가 허다한데 신지애 선수는 65승이나 했다.

골프에는 심판이 없다. 자신의 양심이 심판이 되어서 점수를 기록하고 제출해야 한다. 최근 어떤 프로 테스트를 한 세명의 선수들이 점수를 조작해서 1차 테스트를 통과했고 나중에 이것이 적발 되었다고 하더라. 또 미래가 촉망받던 한 여자 골퍼는 남의 공을 자신의 공이라고 쳤는데 나중에 이것을 알고 스스로 알리지 않고 경기를 마쳤다고 한다. 나중에 이 선수가 우승도 하고 그랬는데 캐디가 이를 문제 삼았따고 한다. 한달이 지나서..그리고 이 여자 프로골퍼는 징계를 받고 최근 복귀했다.

신지애선수의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말 하고 싶은게 아니라 ‘진실함’이다. 65번 우승하려면 얼마나 많은 경기에 나섰겠는가? 그 경기내내 그는 진실하게 플레이를 한거다. 유혹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모르지만 신지애 선수가 그렇게 스스로에게 엄격했고 진실된 사람이었다. 그리고 그는 거기에 실력도 뛰어난 골프 선수인거다.

미래가 촉망 받던 한 여자 골프 선수는 단 한번의 욕심으로 은퇴때까지 주홍글씨를 달고 살아야 한다. 물론 그녀에게 좋은 경험이었을 거다. 그래서 그 선수도 이제는 그러한 유혹에 빠지지 않을거다. 노력은 하지 않겠나? 같은 걸 두번 반복하면 그의 선수 생명은 끝날거다.

하나의 스포츠도 이러한데 그리스도 인들은 어떠한가? 죄를 짓고 죄를 짓고 하는 것이 용서가 되고 용서가 됨으로 인해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오히려 악용하지 않은가? 장재형목사는 종종 그리스도인의 도덕적 헤이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우리는 누구인가? 예수 그리스도의 값비싼 피로 산 자들이다”

장재형 목사와 제자들

https://blog.naver.com/gracefulday79/223410270423

https://solafide.kr/